[단독] "5년간 점검도 제대로 못했다"…文때 개방, 방치된 세종보

최종권 2023. 6. 22. 14: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 당시 해체 수순을 밟으면서 5년 넘게 방치된 4대강 금강 세종보. 프리랜서 김성태


가동보 눕혀진 채 방치…"내부 시설 확인 어려워"


지난 21일 세종시 금강 세종보(洑). 노무현 정부가 건설 계획을 수립하고, 2011년 1287억원을 들여 준공했다. 문을 여닫을 수 있는 가동보 3개(길이 223m)가 수평으로 뉘어진 채 방치돼 있었다. 보를 개방한 상태다. 가동보가 수직으로 서면 물을 가둘 수 있다. 가동보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125m)은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문재인 정부는 생태계 복원을 이유로 2017년 11월 세종보 부분 개방을 결정한 데 이어 이듬해 4월 완전히 개방했다. 2021년 1월에는 보 해체를 결정했다.

보 개방 5년이 지났지만, 세종보 운명은 오리무중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때부터 "4대강 보를 활용하겠다"고 했지만, 세종보는 아직 이렇다할 변화는 없다. 최민호 세종시장도 “세종보는 세종시에 꼭 필요한 인프라”라고 했다.

세종보 설비 모습. 환경부는 장기간 미가동 상태에 있는 세종보 정밀 점검에 나선다. 프리랜서 김성태


가동보 실린더만 94개…“배관 안전성 장담 못 해”


5년 넘게 가동을 멈춘 가동보엔 작은 자갈과 수풀이 끼어있었다. 일부 설비에 녹이 슨 모습도 보였다. 세종 시민 1만1000명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연 12Gwh)을 생산하는 소수력발전도 보 개방과 함께 멈춰있었다. 보 바로 앞 수면 위에 퇴적토가 넓게 드러났다. 그 흙 위에 수풀과 나무가 우거져 섬처럼 보였다.

세종보는 개방 이후 관리도 거의 안 된 듯했다. 중앙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세종보는 2018년 완전 개방 이후 가동보 내부에 있는 실린더 등 주요 장비 점검을 5년 동안 하지 못했다. 개방 전에는 홍수기 전과 후로 나뉘어 1년에 두 차례 정기점검했다고 한다. 고장 난 부품을 교체하고, 연결이 끊어진 곳은 용접도 했다.

"잘못하다 기름 유출 사고 날수도"
세종보에 설치한 가동보 3개엔 보를 움직이는 실린더 94개가 설치돼 있다. 1가동보에 32개, 2가동보에 32개, 3가동보에 30개다. 현재 가동보가 눕혀진 상태라 밑에 깔린 실린더는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다.

실린더는 유압식(油壓式)으로 만들었다. 실린더에 압력을 가해 가동보 축을 밀면 보가 눕혀지는 방식이다. 실린더에 기름을 보내는 배관은 가동보 무게와 수압을 고려해 1㎡당 160~190㎏ 정도 압력을 견디도록 설계됐다. 금강보관리단에 따르면 가동보 운영 시 배관에 가해지는 압력은 광역상수도관 압력의 15배가 넘는다. 배관 내구연한은 7년, 가동보 한 개에 무게는 40t에 달한다.
21일 찾은 세종보 우측에는 물이 흐르지 않아 퇴적토가 많아지고 수풀이 우거졌다. 프리랜서 김성태


"세종보 안전점검에만 6개월"


금강보관리단 관계자는 “가동보를 제대로 점검하려면 40t짜리 철판을 들어 올려 밑에 깔린 실린더와 배관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며 “가동보 개방 결정 이후 주요 장비에 녹이 슬었는지, 누수가 있는지 등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가동보를 들어 올리고 싶어도 배관이 유압을 견뎌낼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며 “무리하게 가동보를 움직였다가, 배관이 터지기라도 하면 기름이 하천에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금강보관리단은 가동보를 비롯한 세종보 안전점검에만 6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세종보 개방으로 금강 수위가 낮아지면서 세종시는 취수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환경부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위한 조사평가단’이 2020년 8월 작성한 ‘금강·영산강 보 개방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보 개방 전인 2017년 11월 4일 11.85m이던 금강 수위(해발 기준)는 개방 후인 2019년 3월 29일에는 8.40m로 3.45m(29.1%) 낮아졌다.

세종시는 세종보에서 상류 5㎞에 있는 양화취수장에서 물을 끌어와 도심을 관통하는 제천과 방죽천, 시민 휴식처인 세종호수공원, 국립세종수목원 등에 하루 2만여t을 공급하고 있다. 보 해체로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류에 있는 양화취수장 가용 취수량도 줄었다.
세종시는 세종보 상류에 있는 양화취수장 인근에 2018년 자갈보를 만들었다. 최종권 기자


“취수량 부족” 96억원 들여 지하수 개발


시는 2018년 임시방편으로 취수장 인근에 2억원을 들여 돌멩이를 쌓아 임시보를 만들었다. 자갈보는 2018년과 2019년 집중 호우에 잇따라 유실됐다. 이때마다 세종시는 보수 공사를 했다. 세종시는 취수 문제 해결을 위해 96억원(국비)을 들여 별도 취수시설을 만들고 있다. 금강 바닥에 관정을 뚫어 지하수를 찾고, 655m 도수관로를 취수장까지 연결하는 공사다. 이를 통해 하루 3만t의 물을 확보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시작한 공사는 2024년 4월 말 끝난다.

한편 최민호 세종시장은 지난 12일 한화진 환경부 장관을 만나 “세종보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개선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 장관은 이날 세종보 안전점검을 지시했다. 환경부는 6월부터 정밀 안전점검을 시작해 오는 11월까지 세종보 재작동 여부를 확인할 방침이다.

세종=최종권 기자 choi.jongkw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