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완규의한·미동맹사] 6·25전쟁 발발과 트루먼 美 대통령의 참전 결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맥아더 미 극동사령관은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국민 축하식'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하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1949년 6월 미군이 철수함에 따라 미국은 한국을 방어할 법률적 책무는 없었다.
트루먼 대통령은 북한의 침략 3일째인 6월27일 제2차 NSC를 열고 미 해·공군의 한국군 지원과 제7함대의 대만해협 봉쇄를 명령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1949년 6월 미군이 철수함에 따라 미국은 한국을 방어할 법률적 책무는 없었다. 미 극동사령부 역시 북한 움직임에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나 1950년 6월25일 전쟁이 일어나자 사태가 심각해졌다. 고향 미주리에서 주말을 보내고 있다 전쟁 소식을 들은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워싱턴으로 급히 돌아와 첫 긴급 국가안보회의(NSC)를 열었다.
그 이튿날부터 주일 미 제5공군 소속 B-26 폭격기가 출격해 북한군을 공격했다. 그러나 북한군이 남진을 계속해 사흘 만에 서울이 함락되자 29일 맥아더 극동사령관은 한강 전선을 직접 시찰한 뒤 북한군이 한국군을 압도한다고 판단해 지상군 투입을 건의했다. 트루먼 대통령은 30일 제4차 NSC에서 지상군 파병도 결정했다.
7월1일 일본에 주둔하고 있던 미 제24사단 21연대 1대대가 부산에 도착했다. 나흘 후 경기도 오산 북쪽 죽미령에서 북한군 제4사단과 최초로 교전했다.
최완규 육사 외래교수·경제사회연구원 국방센터 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은지원, 숨겨진 가정사 고백 “아버지 살아생전 겸상도 안 했다”
- “밤에 2번 이상 깨면 위험 신호?…‘이것’ 때문이었다”
- 18만원이 없어서 군대 면제받았는데 지금은 연 55억 버는 男배우
- 13년 만에 밝힌 진실…오정연·서장훈이 직접 공개한 두 사람의 이혼 사유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