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예술품’ 모래언덕과 홍어 장수 이야기

남호철 2023. 6. 14. 20: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남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牛耳島)는 섬 서쪽에 튀어나온 2개의 반도가 소의 귀처럼 생겨서 얻은 이름이다.

돈목해변 북쪽 성촌마을 인근에 자연이 빚어놓은 높이 50m, 경사면 길이 100m 규모의 모래언덕이다.

급경사를 이루는 모래언덕 너머로 활처럼 휘어진 돈목해변과 붉은 지붕을 얹은 돈목마을 풍광이 한 폭의 그림 같다.

돈목해변은 모래사장 길이 1.5㎞, 너비 300m로 우이도에서 가장 큰 해변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배·표류의 땅’ 신안 우이도
전남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 돈목해변 너머 능선 위에 바람이 빚어놓은 풍성사구가 소의 혀처럼 길게 늘어져 있다. 높이 50m, 경사면 길이 100m, 경사도 32~33도로, 국내 최대 모래언덕이다. 그 왼쪽에 파란 지붕을 한 성촌마을이 아담하게 자리 잡고 있다.


전남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牛耳島)는 섬 서쪽에 튀어나온 2개의 반도가 소의 귀처럼 생겨서 얻은 이름이다. 하나가 돈목마을이고 다른 하나가 성촌마을이다. 조선시대에는 지금의 흑산도와 함께 모두 흑산도로 불렸다. 홍어와 얽힌 사연도 전해진다.

목포시에서 65㎞ 떨어져 있는 우이도는 면적 10.7㎢에 주민 217명(2022년 기준)인 작은 섬이다. 섬 가운데 높은 고개를 중심으로 서쪽 돈목리와 동쪽 진리로 나뉜다. 섬 규모는 작지만 풍경의 크기마저 작은 건 아니다. 입을 떡 벌어지게 만드는 이국적인 풍경이 기다린다.

우이도의 최고 자랑거리는 풍성사구(風成砂丘)다. 돈목해변 북쪽 성촌마을 인근에 자연이 빚어놓은 높이 50m, 경사면 길이 100m 규모의 모래언덕이다.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북서풍, 동남풍 등 계절에 따라 부는 바람이 교차하면서 만들어졌다.

모래언덕의 경사도는 32~33도. 1970~80년대 이곳에서 비료 포대를 깔고 모래 썰매를 타는 사람들이 많았단다. 이 때문에 사구는 초라할 정도로 훼손됐다. 2025년 말까지 보존을 위해 출입이 금지됐다. 사구 비탈면으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숲길 탐방로를 따라 정상으로 올라갈 수 있다.

언덕에 오르면 세찬 바람이 맞이한다. 그 바람에 모래가 발자국을 순식간에 사라지게 하고, 스르르 흐르며 부드러운 곡선의 물결무늬를 만든다. 우이도에 전해오는 ‘모래 서 말을 먹어야 시집 간다’는 말이 실감난다. 언덕 위는 거대한 사막의 한 조각을 떼어 놓은 모습이다. 급경사를 이루는 모래언덕 너머로 활처럼 휘어진 돈목해변과 붉은 지붕을 얹은 돈목마을 풍광이 한 폭의 그림 같다. 마음이 풍성해진다.

돈목해변은 모래사장 길이 1.5㎞, 너비 300m로 우이도에서 가장 큰 해변이다. 모래가 곱고 단단하며 경사가 완만하다. 만의 안쪽에 위치한 덕분에 파도가 잔잔해 해수욕에 안성맞춤이다. 돈목은 멧돼지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옛날 주민들은 섬에 많던 멧돼지를 이 해변으로 몰아 사냥했다고 한다.

우이도에서 유명한 인물은 손암 정약전이 쓴 ‘표해시말(漂海始末)’의 주인공인 조선시대 홍어 장수 문순득(1777~1847년)이다. 1801년(순조 1년) 12월 24세의 문순득은 작은아버지 등 마을 사람들과 함께 흑산도 인근 태사도에 홍어를 사러 갔다가 이듬해 1월 돌아오는 길에 폭풍을 만나 표류해 일본 오키나와까지 떠밀려 갔다. 같은 해 10월 중국을 향해 출발했지만 다시 표류해 더 남쪽인 필리핀에 도착했다. 이후 광저우, 마카오, 베이징, 의주, 서울을 거쳐 1805년 1월 3년 2개월 만에 우이도로 돌아왔다.

당시 이 섬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정약전이 그의 표류기를 쓴 것이 ‘표해시말’이다. 문순득의 기억을 따라 날짜별로 정리하고, 표류지의 풍속·언어·가옥·선박 등에 관해 자세하게 남겼다.

진리마을 선창 주변에는 왼손에 노를 잡고 오른손을 들어 인사하는 문순득 동상이 서 있고 그 뒤로 생가도 복원됐다. 진리마을 선창은 조선시대 상업 활동을 위해 만들어진 포구로, 원형이 잘 보존돼 있다. 당시 일대 상인들은 흑산도에서 홍어를 사다가 내륙인 나주 영산포에 팔고, 나주에서는 쌀 등 생필품을 사서 섬 주민들에게 팔았다고 한다.

우이도(신안)=글·사진 남호철 여행선임기자 hcnam@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