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숙소에 '빈대' 있는지 확인하는 법

이해나 기자 2023. 6. 10. 1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WHO(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국제공중보건비상사태(PHEIC) 선포를 해제하면서, 해외 여행자 수가 늘고 있다.

하지만 간만의 여행을 끔찍한 추억으로 남기지 않으려면, 여행 중 묵는 숙소의 '빈대(Bedbug)' 출몰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는 게 좋다.

숙소에 빈대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침대부터 살펴보자.

숙소에서 빈대를 발견하면 바로 직원에게 알려 소독을 요청해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빈대/사진=클립아트코리아
지난달 WHO(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국제공중보건비상사태(PHEIC) 선포를 해제하면서, 해외 여행자 수가 늘고 있다. 하지만 간만의 여행을 끔찍한 추억으로 남기지 않으려면, 여행 중 묵는 숙소의 '빈대(Bedbug)' 출몰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는 게 좋다.​

빈대는 어두울 때만 나타나는 야행성 곤충이다. 사람을 비롯한 온혈동물의 피를 빨아먹고 산다. 하룻밤에 500회 이상 사람을 물 수 있고, 한 번 물 때 자기 몸무게의 7배에 달하는 많은 양의 혈액을 빨아들인다.

빈대에 물리면 피부에 붉은색 또는 흰색의 부어오르는 자국, 수포, 농포 등이 나타나며, 2~3개의 물린 자국이 그룹을 짓거나 ​일렬을 형성하는 패턴을 보이는 경우도 많다. ​빈대가 혈관을 찾기 위해 조금씩 이동하며 물기 때문이다. 가려움과 통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하지만 최대한 긁지 말고, 병원에서 항히스타민제를 처방받아 복용하거나 스테로이드 연고를 발라 가려움을 줄이는 게 좋다.

빈대 물린 자국/사진=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숙소에 빈대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침대부터 살펴보자. 특히 침대 매트리스 솔기(천의 끝과 끝을 봉합했을 때 생기는 선)와 지퍼, 침대 머리판 부분을 살핀다. 벌레가 그 틈새에 숨어있을 가능성이 크다. 침대 매트리스, 헤드보드, 푹신한 가구에 혈액이 얼룩처럼 묻어있거나 1mm 크기의 하얀 알이 발견되는 경우에도 빈대가 있을 수 있다. 그릇이나 컵을 넣어두는 찬장과 걸레받이(벽면의 하단부 바닥과 벽을 마무리하는 부재) 또는 카페트가 맞닿는 부분도 빈대가 잘 숨이 있는 곳이다. 이 밖에 전기 콘센트, 액자 뒤도 확인하는 게 좋다.

숙소에서 빈대를 발견하면 바로 직원에게 알려 소독을 요청해야 한다. 방을 변경할 때는 빈대가 발견된 방에서 되도록 멀리 떨어진 방으로 옮겨야 안전하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