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치 "韓, 美·中 반도체 전쟁 피해입어도 오래가지 않을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레이팅스가 미국의 대중(對中) 반도체 장비 수출 제한 조치로 인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중국에 반도체 공장을 둔 한국 업체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면서도 그 피해가 오래 가진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 관련해 피치는 "만약 미국이 유예 조치를 연장할 수 없다면 우리는 기업들(삼성전자, SK하이닉스)이 중국 공장에 이미 설치된 기술을 활용해 메모리반도체 생산을 지속해 나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 내 마이크론 빈자리, 韓업체가 일부 채울 것"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레이팅스가 미국의 대중(對中) 반도체 장비 수출 제한 조치로 인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중국에 반도체 공장을 둔 한국 업체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면서도 그 피해가 오래 가진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CNBC방송에 따르면 피치는 7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전망을 내놨다. 피치는 미국이 지난해 10월 중국에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조치를 내놓으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위험에 직면했다고 봤다. 중국이 반도체를 군사적 용도로 사용할 가능성을 두고 미국이 조치를 취했고, 세계 상위 5개 반도체 장비 업체가 있는 국가인 일본, 네덜란드가 여기에 동참했다.
피치가 이러한 보고서를 내놓은 건 국내 주요 반도체 업체들이 중국에 주요 생산 거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시안에 낸드플래시 공장을, 쑤저우에 패키징 공장을 두고 있으며 SK하이닉스는 우시에 D램 공장을, 충칭에 패키징 공장이 있다. 삼성의 전체 낸드 생산량 중 40%가 중국 공장에서 나온다. SK하이닉스도 D램은 40~50%, 낸드는 20%를 중국 공장에서 생산한다.
피치는 "장기간 공급 혼란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면서 "만약 그렇게 되면 두 회사의 확장 투자와 기술 업그레이드의 주요 지역은 한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미국은 지난해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를 발표하면서 국내 기업에 대해 1년간 유예기간을 줬다. 유예기간이 끝나는 오는 10월 이후에 대해서는 후속 조치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피치는 "만약 미국이 유예 조치를 연장할 수 없다면 우리는 기업들(삼성전자, SK하이닉스)이 중국 공장에 이미 설치된 기술을 활용해 메모리반도체 생산을 지속해 나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미국 최대 메모리반도체 마이크론이 중국에서 구매금지 조치를 당하며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수혜를 볼 것이라는 시장 전망에 대해서는 피치도 "결과적으로 중국 내에서 반도체 가격이 올라 혜택이 있을 것"이라며 같은 의견을 냈다. 다만 피치는 그로 인한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며 마이크론이 중국 밖에서 메모리반도체를 팔아 결국 세계 반도체 가격이 다시 내려가면서 그 효과가 상쇄될 것이라고 봤다.
지난달 중국이 마이크론에 대한 보복 조치를 단행한 뒤 미국에서는 백악관과 의회 등 정계를 중심으로 중국 내 마이크론의 빈자리를 국내 기업이 채워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연이어 나왔다.
이에 대해 피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마이크론이 빠진 자리의 일부분은 채우게 될 것이라면서 "메모리반도체라는 상품의 특성상 마이크론이 나간 자리를 실제 한국 기업들이 채웠는지는 파악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도 "이러한 전략의 특성상 시간은 걸리지만 결국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얻은 혜택을 상쇄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피치는 미국과 중국이 추가로 서로에 대한 극단적인 조치를 내놓을 경우 반도체 공급망의 비용과 가용성 측면에 영향을 줘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故정주영 회장 63세 며느리, 태극마크 달고 아시안게임 출전한다 - 아시아경제
- "고급 과일이었는데…한국에 당했다" 가격 폭락에 고민에 빠진 日 - 아시아경제
- 구독자 200만 인니 인플루언서…돼지껍데기 먹방 후 감옥행 '위기' - 아시아경제
- "당 대표 체포안 통과에 웃음이 나냐" 개딸 타깃된 고민정 - 아시아경제
- "일단 한번 먹어봐"…정용진 부회장이 극찬한 4000원 자장면 - 아시아경제
- 바다에 둥둥 떠있던 고래 사체…다가가자 갑자기 '펑' 터져 - 아시아경제
- "연주에 방해된다" 젖꼭지까지 제거한 일본 기타리스트 - 아시아경제
- 107kg 달했던 오프라 윈프리 "비만치료제 혹했지만…내 힘으로 감량" - 아시아경제
- "우리 애 모기 물렸잖아, 신경 좀 써줘요" 어린이집 교사의 하루 - 아시아경제
- "부장검사 X화났다는데? ㅋㅋㅋㅋ" MZ조폭들의 조롱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