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연구소 "지구에 존재하는 핵탄두 1만2520발…北엔 40발"

김은빈 2023. 6. 6. 00: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일본 나가사키대 핵무기폐기연구센터(RECNA) 홈페이지

일본 나가사키대 핵무기폐기연구센터(RECNA)는 올해 6월 기준 지구에 존재하는 핵탄두 수가 1만2520발로 추정됐다고 5일 발표했다. 이는 전세계 국가 중에서도 단 9개 국가가 보유한 양이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 연구소는 매년 세계 각국의 전문기관과 연구 문헌을 바탕으로 핵탄두 수를 추계해왔다.

연구소는 올해 전세계 핵탄두 수가 지난해보다 200발 줄었지만, 실제 배치되는 '실전용 핵탄두'는 증가 추세에 있다고 분석했다.

국가별로 핵탄두 보유량을 보면 러시아가 5890발로 가장 많았다. 미국이 5244발로 그 뒤를 이었고, 중국 410발, 프랑스 290발, 영국 225발, 파키스탄 170발, 인도 164발, 이스라엘 90발, 북한 40발 등 순으로 추정됐다.

최근 10년간 추계치를 비교해 보면 중국이 160발로 가장 많이 늘었고, 인도 64발, 파키스탄 60발 등 순이었다. 이 기간 북한도 최소 30발 이상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스즈키 타츠지로 부센터장은 "미국과 러시아의 핵무기 현대화 계획이 핵전쟁 위험을 높이고 있다"며 "핵탄두의 감축뿐만 아니라 신무기 금지와 우주 사이버 영역의 군사 활동 규제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