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시선] 쓰레기‧막말‧소음..계속되는 촬영장 민폐, 제작진 책임 의식 가져야

유지희 2023. 6. 5. 05: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NA ‘사랑한다 말해줘’의 찰영 현장에 남겨진 쓰레기들. 사진제공=온라인커뮤니티 

촬영장 민폐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길거리 통제를 넘어 소음, 쓰레기 등 인근 주민의 생활권까지 침해하는 일까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앞서 비슷한 사례로 논란이 일어난 데다 사전제작이 크게 늘어났음에도 상황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제작진의 책임 의식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ENA ‘사랑한다 말해줘’ 제작진은 최근 쓰레기를 남기고 촬영장을 떠나 뭇매를 맞았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촬영장 수준’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고, 함께 첨부된 사진에는 길가에 ‘사랑한다 말해줘’ 시놉시스, 담배꽁초, 플라스틱 컵 등이 널브러진 모습이 담겼다. 논란이 커지자 제작진은 “당일 매뉴얼대로 촬영 종료 후 즉각 현장을 정리했지만 그 과정에서 미흡한 점이 발생했다”고 사과했다.

올해 상반기에만 다수의 작품들이 촬영장 민폐로 고개를 숙였다. ‘폭싹 속았수다’는 도넘은 통제, ‘이재, 곧 죽습니다’는 스태프 막말, ‘하트시그널4’는 촬영장 소음 등으로 논란을 일으키며 공분을 샀다. 경찰 수사로까지 이어진 경우도 있다. 지난 4월 한 시민이 ‘무인도의 디바’ 촬영장의 빛과 조명을 이유로 스태프를 향해 벽돌을 던지는 일이 발생했고 결국 상해혐의로 입건됐다.

촬영장 민폐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과도한 외부인 통제, 촬영 스태프들의 강압적 태도나 막말, 소음 및 빛 공해 등 민폐 사례는 다양하다. 최근엔 플랫폼이 늘어나면서 작품 제작수가 증가하고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시민들이 즉각 불만을 표출하거나 피해를 호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논란이 불거질 때마다 제작진은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다”며 천편일률적 입장을 내놓고 있는 탓에 시민들의 피로감만 날로 커지고 있다. 

뚜렷한 법적 제재가 있는 것도 아니다. 문화재, 도로 통제 등은 상업용 촬영일 경우 사전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사유지가 아닌 그 밖의 길거리 또는 주택가는 사전허가를 강제하지 않는다. 한국영상위원회가 매뉴얼을 통해 촬영시 관할경찰서 및 지자체와 긴밀한 사전협의를 통해 허가를 받고 촬영에 임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이는 권고사항에 그친다. 미국에서 도로 등을 촬영할 때 사전허가가 필수사항이고 커뮤니티 구역에선 사생활 침해를 이유로 엄격히 법적 제재를 가하는 것과 대조된다.

제작진 입장에선 제작비 절감 등을 이유 정해진 시간에 촬영을 마쳐야 하는 탓에 관리 소홀이 쉽게 일어난다. 외주 스태프들이 늘어나면서 일원화된 통제가 쉽지 않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그렇다고 촬영에 따른 피해가 시민에게 전가되는 게 당연한 건 아니다.

비슷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은 제작진의 책임 의식이 결여된 결과다. 게다가 이른바 ‘쪽대본’ 제작 환경과 비교해 사전제작 시스템이 일반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사전협의 등을 거칠 수 있는 환경도 마련됐다. 제작환경이 개선됐다면 시스템도 개선되는 게 맞다. 개선 노력을 하지 않고 방치하는 것은 제작진의 도덕적 해이나 다름이 없다.  

유지희 기자 yjhh@edaily.co.kr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