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책임 안 묻는다는 尹, 경찰에 살인면허 줬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가 경찰이 고공농성 중이던 한국노총 간부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유혈사태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강경진압으로 나가면 지지율 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걸 지난번에 깨달은 것"이라고 밝혔다.
진 교수는 1일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해 "사측이 협상에 응하지 않는 등 노조 간부가 농성한 이유가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이 (노조 진압) 책임을 안 묻는다고 했다"며 "사실상 경찰이 살인면허를 얻은 것"이라고 이같이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꼭 지금 진압해야 할 사안인가 하는 문제 남겨”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가 경찰이 고공농성 중이던 한국노총 간부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유혈사태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강경진압으로 나가면 지지율 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걸 지난번에 깨달은 것”이라고 밝혔다.
진 교수는 1일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해 “사측이 협상에 응하지 않는 등 노조 간부가 농성한 이유가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이 (노조 진압) 책임을 안 묻는다고 했다”며 “사실상 경찰이 살인면허를 얻은 것”이라고 이같이 말했다.
진 교수는 “저들이 문제 삼는 경찰의 무른 대응이라는 배경이 있다”며 “용산 참사, 쌍용차 강제진압, 물대포 (백남기 농민) 사망 사건이 있었다. 그것들로 인해 새로운 관행이 만들어지는 건데 이것을 물리고 과거로 다시 돌린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렇다면 불행하게도 옛날에 우리 겪었던 그 불행한 사태들은 다시 일어날 수 있다”며 “그런 사태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정부에서 경찰에 책임을 안 묻겠다고 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그러니 경찰봉을 아주 신나게, 거의 활극 하듯이 내려치고 있다”며 “저것이 진압의 필요인가라는 생각이 들고 그게 꼭 지금 진압해야 할 사안인가 하는 문제를 남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31일 전남 광양제철소 앞 도로에 7m 철제 구조물을 무단으로 세우고 농성을 벌이던 한국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금속노련) 김만재 위원장, 김준영 사무처장이 경찰에 긴급 체포됐다. 김준영 사무처장은 경찰에게 쇠파이프를 수차례 휘둘렀고, 경찰은 플라스틱 경찰봉으로 김 사무처장을 제압했다.
경찰은 설명자료를 내고 김 처장이 정글도와 쇠파이프를 휘두르며 저항해 진압봉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한국노총 측은 “김 처장은 정글도를 들지 않았고 사다리차 접근을 막기 위해 쇠파이프를 휘둘렀을 뿐 경찰을 때리지는 않았다”고 반박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검정 모자 푹 눌러 쓴 정유정… “제정신 아니었던 것 같다”
- “아기 굶어서” 분유 훔친 미혼모…경찰이 한 일 [아살세]
- 與의원 “우크라, 6·25 참전국”…野 “그때 소련이었는데?”
- 또래 명문대생 죽인 ‘공시생’ 정유정…“신분 탈취 노려”
- 여친 딸 둘에게 수면제 먹이고 성폭행한 男, CCTV에 잡혔다
- 북한 2차 발사 임박?…“기존 발사대 주변 움직임 분주”
- 선관위 ‘아빠 찬스’ 의혹 자소서 보니 “선거 치른 아빠”
- “생각 짧았다”…WBC 음주 의혹 3인방 결국 사과
- “반전의 라스트 찬스” 저출산 일본의 사활 건 카드
- 출근길 女에 “죽여줄게” 퍽퍽…서울서 또 ‘묻지마 폭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