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발사체 2단 수심 75m에… 내일 인양될 듯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군은 북한이 쏜 우주발사체 추락 해역에서 길이 15m, 직경 2∼3m의 잔해물 인양작전을 실시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잔해는 3일 인양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잔해와 관련해 "로켓의 2단 부분으로 보고 있다"며 "3단체와 (위성) 탑재체 부분은 지속해서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잔해의 길이는 15m로 북한이 '천리마 1형'으로 이름 붙인 우주발사체 전체 길이(30여m)의 절반 정도로 추정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군은 북한이 쏜 우주발사체 추락 해역에서 길이 15m, 직경 2∼3m의 잔해물 인양작전을 실시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잔해는 3일 인양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잔해와 관련해 “로켓의 2단 부분으로 보고 있다”며 “3단체와 (위성) 탑재체 부분은 지속해서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또 “예상했던 것보다 무거워 다른 장비를 투입하고 있고, 시간이 좀 더 소요될 것”이라며 “이틀 정도, 내일모레까지는 가야 하지 않을까 한다”고 설명했다.
군은 어청도 서쪽 약 200㎞ 해상에서 북한 우주발사체의 일부로 추정되는 잔해를 31일 발견했다. 그러나 인양 도중 떨어뜨려 수심 75m 깊이 바닥에 수평으로 가라앉은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잔해의 길이는 15m로 북한이 ‘천리마 1형’으로 이름 붙인 우주발사체 전체 길이(30여m)의 절반 정도로 추정됐다. 3단으로 구성된 발사체의 제원은 1단(8m)·2단(7m)·3단(4∼5m)으로 추정된다. 1단은 비행과정에서 이미 분리됐기 때문에 이번 잔해가 2단과 3단의 연결부분이라는 분석도 있다. 군은 포화잠수(100m 이상 깊이에서 장시간 잠수) 장비 등 해저 깊은 곳을 수색·인양하는 데 특화된 잠수함구조함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이 장관은 국방위에서 “북한이 예고했던 기간(11일) 내에 또 (정찰위성을) 발사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군이 이틀째 인양작업을 펼친 상황에서 로켓 엔진과 위성 탑재체 등 핵심 구성품을 건질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그러나 북한이 기술 노출을 우려해 로켓 또는 위성에 자폭장치를 심어놓았을 수도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이동환 신용일 기자 hua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생각 짧았다”…WBC 음주 의혹 3인방 결국 사과
- “반전의 라스트 찬스” 저출산 일본의 사활 건 카드
- 출근길 女에 “죽여줄게” 퍽퍽…서울서 또 ‘묻지마 폭행’
- ‘또래 살인’ 정유정은 은둔형외톨이…“살인해보고 싶었다”
- ‘음주운전 바꿔치기’ 이루, 징역 1년 구형…“母 치매” 호소
- “싼타페 급가속”… 일가족 4명 숨진 사고, 항소심도 패소
- “공무원끼리만 수박 먹고 괘씸”…논란의 시청 민원글
- 과외학생인척…또래 살해 20대女, ‘교복’ 입고 찾아갔다
- 압수수색 당한 MBC 기자 “팬티 서랍까지 뒤적뒤적”
- “학원비 환불해줘”…임신한 학원장 배 걷어찬 학부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