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들의 음주법은 따로 있다?

이지형 객원기자 2023. 6. 1. 2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남궁기 교수와 술 얘기를 나눈 적이 있다.

남궁기 교수는 알려진 알코올 사용장애 명의다.

"양주잔에 따르면 소주 얼마 안 들어갑니다. 그런데 사람의 뇌는 잔으로 양을 가늠해요. 10병 먹을 거 6병 먹게 되는데, 취하는 건 똑같아요. 제가 현장에서 봐서 알아요."남궁기 교수는 30년간 알코올 사용장애를 연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남궁기 교수와 술 얘기를 나눈 적이 있다. 알코올 중독 관련 정보를 소개하는 영상을 찍는 중이었다. 남궁기 교수는 알려진 알코올 사용장애 명의다. 유전이 알코올 사용장애에 미치는 영향부터 가정주부들에게 낯설지 않다는 키친 드렁커(kitchen drunker, 부엌에서 홀로 음주) 문제까지 광범한 얘기를 나누던 중에 절주와 단주가 소재로 등장했다.

술로 일상의 황폐화를 겪어본 사람들은 일주일에도 여러 번 고민한다.
절주할까, 단주할까?
절주는 술을 절제해 마시는 것이고, 단주는 술을 아예 끊는 것이다. 절주 옹호론자들은 지인들과의 음주와 담소가 인생의 큰 즐거움 중 하나인데 야박하게 어찌 끊느냐고 말한다. 단주 소망자들은 누군들 절주를 원하지 않겠느냐 항변한다. 마시다 보면 어느새 급발진 상태로 돌입한다는 한탄이다.

◇“저희, 소주잔 말고 ‘그 잔’ 주세요”
남궁기 교수는 단주 쪽을 권했다. 절주는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단 것이다. 요약하자면, 절주를 결심하는 건 맨정신 상태에서다. 그러나 마시던 술을 멈추는 것, 그러니까 절주의 실행은 이미 서너 잔이 들어간 상태에서다. 절주는 논리적으로 성립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는 촬영 말미에 흥미로운 실전 팁 하나를 건넸다. ‘우리 과(세브란스 정신건강의학과) 사람들과 많이 마셔야 할 때’ 활용하는 방법이란 단서를 달았다. 그러니까 세브란스 의사들의 절주법인 셈이다. 이런 식이다. 동료들과 단골 고깃집에 간다. 소주를 시키면서 ‘그 잔’ 주세요…, 외친다. 식당 사장님은 미리 준비해둔 양주잔을 식탁에 배치해준다.

“양주잔에 따르면 소주 얼마 안 들어갑니다. 그런데 사람의 뇌는 잔으로 양을 가늠해요. 10병 먹을 거 6병 먹게 되는데, 취하는 건 똑같아요. 제가 현장에서 봐서 알아요.”
남궁기 교수는 30년간 알코올 사용장애를 연구했다. 그런데도 절주 방법을 찾아내지 못했다고 고백한다. 절주의 방법을 만들어내는 게 남은 연구의 목표가 될 수도 있겠다고 그날 방송에서 웃지 않고 말했다. 밤새 달리고, 아침이면 좌절하는 알코올 환자들이 반색할 낭보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