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파 왕’ 세비야, 최다 7회 우승… 모리뉴 100% 확률 깨졌다

권중혁 2023. 6. 1. 13: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로파의 왕' 세비야(스페인)가 유럽축구연맹 유로파리그(UEL) 결승전에서 '스페셜원' 주제 모리뉴 감독이 이끄는 AS로마(이탈리아)에 승부차기 끝에 승리를 거두며 통산 7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세비야는 1일(한국시간)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푸스카스 아레나에서 열린 AS로마와의 2022-2023 UEL 결승전에서 1-1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4대 1로 승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비야 선수들이 1일(한국시간)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푸슈카시 아레나에서 열린 2022-2023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에서 AS로마를 꺾고 우승한 뒤 세리머니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유로파의 왕’ 세비야(스페인)가 유럽축구연맹 유로파리그(UEL) 결승전에서 ‘스페셜원’ 주제 모리뉴 감독이 이끄는 AS로마(이탈리아)에 승부차기 끝에 승리를 거두며 통산 7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세비야는 1일(한국시간)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푸스카스 아레나에서 열린 AS로마와의 2022-2023 UEL 결승전에서 1-1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4대 1로 승리했다. UEL 역대 최다 우승팀인 세비야는 우승 횟수를 7회(2005-2006, 2006-2007, 2013-2014, 2014-2015, 2015-2016, 2019-2020, 2022-2023)로 늘렸다.

이날 경기는 ‘100% 간 맞대결’로 이목이 쏠렸다. 세비야는 앞선 6번의 UEL 결승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며 자타공인 ‘유로파의 왕’으로 불렸다.

이에 맞선 AS로마는 수장인 모리뉴 감독이 5차례 유럽클럽대항전 결승에 올라 모두 우승했다. 포르투 시절 2002-2003 UEFA컵(UEL 전신) 우승과 2003-2004 UEFA 챔피언스리그(UCL)를 시작으로, 2009-2010 UCL(인터밀란), 2016-2017 UEL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UEFA 유로파 콘퍼런스리그(AS로마)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유로파의 선택은 세비야였다. 세비야는 전반 34분 AS로마의 파울루 디발라에게 왼발 선제골을 내주며 끌려갔다. 하지만 후반 10분 헤수스 나바스가 왼쪽 측면에서 시도한 크로스가 AS로마의 수비수 잔루카 만치니 몸에 맞고 골문으로 들어가며 1-1 균형을 맞췄다.

정규시간과 연장 전후반 동안 승부를 가리지 못한 두 팀은 승부차기에 돌입했다. 세비야 선수들이 차례로 페널티킥을 모두 성공했지만, AS로마 2~3번 키커인 만치니와 이바네스의 킥이 실패하면서 세비야가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세비야의 마지막 키커 곤살로 몬티엘은 카타르월드컵 결승전에 이어 UEL 결승전에서도 승부차기 마지막 골을 성공한 선수가 됐다. 3-1로 앞선 상황에서 키커로 나선 몬티엘은 첫 번째 킥이 상대 골키퍼에 막혔다. 하지만 비디오판독 결과 골키퍼가 먼저 움직였다는 판정이 내려지면서 또 한 번 기회가 왔고, 두 번째 킥은 성공시켰다.

수문장 야신 부누의 활약도 돋보였다. 지난해 2022 카타르월드컵에서 신들린 선방으로 모로코의 4강 돌풍의 주역이기도 한 부누는 이날도 수차례 선방을 기록하며 우승 일등공신이 됐다. 승부차기 선방 외에도 전반 11분 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의 슈팅을 막아낸데 이어 후반 21분에도 문전 혼전 상황에서 태미 에이브러험의 슈팅을 쳐내 실점을 막기도 했다.

반면 AS로마의 만치니는 후반전 자책골에 이어 승부차기 실축까지 최악의 하루를 보내게 됐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