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살아나기는 할까...반도체 가격 약세에 수출금액지수 7개월 연속 하락

진욱 매경이코노미 인턴기자(economy03@mk.co.kr) 2023. 6. 1. 08: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25개월 연속 하락
(출처=연합뉴스)
지난 4월 우리나라 수출금액지수가 1년 전보다 16%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 가격 약세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더구나 수출 가격이 수입 가격보다 더 크게 떨어지면서 순상품교역지수도 25개월 연속 하락했다.

3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무역지수 및 교역조건(달러 기준)’ 통계를 분석한 결과 4월 수출금액지수는 1년 전보다 16% 하락한 118.32(2015년=100)로 집계됐다.

수출금액지수는 작년 10월(-6.6%) 이후 7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 중이다. 낙폭도 3월(-13.7%)보다 커졌다. 품목별로 보면 컴퓨터·전자·광학 기기(-38.8%), 석탄·석유 제품(-27.3%) 등의 하락률이 컸다. 반면 운송 장비(27.7%), 기계·장비(3%)의 수출금액지수는 상승했다.

수출물량지수(116.57)는 1년 전보다 3.2% 낮아졌다. 3월(-2.7%)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세다. 역시 컴퓨터·전자·광학 기기 등의 부진이 뼈아팠다. 컴퓨터·전자·광학 기기(-17.8%), 섬유·가죽 제품(-13.1%)은 떨어졌고 운송 장비(25.2%), 농림수산품(4%)은 높아졌다.

4월 수입금액지수(145.50)와 수입물량지수(120.22)는 1년 전보다 각 13.5%, 0.9% 낮아졌다. 석탄·석유 제품(-40.6%), 광산품(-24.5%) 등의 수입 금액이 크게 줄었다. 수입물량지수도 석탄·석유 제품(-16.4%), 1차 금속 제품(-12.1%), 컴퓨터·전자·광학 기기(-10.1%) 등을 중심으로 하락했다.

수출입금액지수는 해당 시점 달러 기준 수출입 금액을 기준 시점(2015년) 수출입 금액으로 나눈 지표고, 수출입물량지수는 산출된 수출입금액지수를 수출입물가지수로 나눈 것이다.

한편 순상품교역조건지수(83.86)는 1년 전보다 0.5% 떨어져 25개월 연속 하락했다. 같은 기간 수출 가격(-13.2%)의 하락폭이 수입 가격(-12.8%)보다 컸던 까닭이다.

순상품교역조건은 1단위 수출 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화한 것으로 하락하면 교역 조건이 나빠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25개월은 2017년 12월부터 2020년 3월까지 28개월 이후 가장 긴 교역 조건 연속 악화 기록이다.

소득교역조건지수(97.76)의 경우 수출물량지수(-3.2%)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0.5%)가 모두 낮아지면서 1년 전보다 3.7% 하락했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우리나라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상품의 양을 나타낸다.

[진 욱 인턴기자]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