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보 발령→오발령→해제’...서울시 경계경보 오발령에 시민들 ‘혼란’

이성민 매경이코노미 인턴기자(economy05@mk.co.kr) 2023. 5. 31. 10: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발사한 5월 31일 오전 서울시가 발송한 경계경보 발령 위급 재난문자(왼쪽). 서울시는 이어 6시 41분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이라는 문자를 다시 보냈다. (출처=연합뉴스)
서울시가 아침부터 시민들에게 대피를 준비하라는 내용의 경계경보를 발령하면서 출근을 준비하던 시민들이 불안에 떨었다. 서울시와 행안부가 44분간 엇갈려 보낸 정정 문자로 인해 시민들의 혼란은 더욱 가중됐다.

서울시는 31일 오전 6시 41분 “오늘 6시 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는 내용의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서울시 경계경보 발령 직전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는 소식이 알려진 탓에 긴장감이 고조됐다. 어떻게 된 일인지 확인하려는 시민들의 접속이 몰리면서 네이버 모바일 버전이 마비되기도 했다.

이후 행정안전부가 22분 뒤인 오전 7시 3분 재난문자를 통해 “오전 6시 41분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림”이라고 정정했다. 서울시도 오전 7시 25분 안전안내문자로 “북한 미사일 발사로 인해 위급 안내문자가 발송되었습니다”라며 “서울시 전지역 경계경보 해제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시민 여러분께서는 일상으로 복귀하시기 바랍니다”라고 밝혔다.

오발령 정정은 바로 이뤄졌지만 서울시 ‘경계경보 발령’, 행안부 ‘오발령 안내’, 서울시 ‘경계경보 해제’가 차례로 이어지면서 당국이 엇박자를 낸 데다 대피를 알리는 안내 역시 허술하고 빠르지도 못했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시민들은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알리지도 않은 채 무조건 대피하라고 해 혼란만 커졌다며 불만을 쏟아내기도 했다.

서울시는 경계경보 오발령에 대해 행정안전부의 북한 발사체 관련 통보를 받고 이를 발송했다고 해명했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6시 30분 행정안전부 중앙통제소에서 ‘현재 시각, 백령면 대청면에 실제 경계경보 발령. 경보 미수신 지역은 자체적으로 실제 경계경보를 발령‘이라는 내용으로 지령 방송을 보내 수신했다고 밝혔다.

이에 시 민방위경보통제소에서 재난문자 발송 요청을 해왔고 서울시에서 승인해서 발송됐다는 것이 서울시 설명이다. 상황이 정확히 파악되기 전에는 우선 경계경보를 발령하고, 상황 확인 후 해제하는 것이 비상 상황 시 당연한 절차라는 입장도 밝혔다.

반면 행안부는 “오발령은 행안부 요청에 따른 것은 아니다”라며 “경계경보 발령은 서울시에 요청 없이 행안부에서 직접 발령하면 된다. 서울시에 경계경보 발령을 지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