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낙규의 Defence Club]실패한 북 위성… ‘2단 고공엔진이 문제’

양낙규 입력 2023. 5. 31. 09:5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우주사발사체 발사에 실패했다. 북한이 예고한 궤도에 위성을 안착시키기도 전에 발사체가 비정상적으로 비행하면서 추락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31일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6시 29분께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발사한 이른바 우주발사체 1발이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북한이 예고대로라면 이번 위성을 실은 우주발사체는 발사 직후 충남 대천항에서 서쪽으로 230∼300km 떨어진 서해 공해상에 1단 추진체, 제주 해군기지에서 서쪽으로 270∼330여 km 떨어진 서남해 공해상에 페어링(위성 보호덮개)을 각각 떨어뜨린 뒤 필리핀 루손섬 동쪽 약 700∼1000km 떨어진 해상까지 날아가 2단 추진체를 낙하시켰어야 했다.

하지만 발사체는 백령도 서쪽 먼바다 상공을 통과해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 비정상적 비행으로 낙하했다. 어청도는 전북 군산 서쪽 60여km에 위치한 섬이다.

북한도 위성발사체 발사 실패를 인정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31일 6시 27분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예정되였던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발사했다"며 "‘천리마-1’형은 정상 비행하던 중 1계단 분리 후 2계단 발동기(엔진)의 시동 비정상으로 하여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추락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언급한 2단계 엔진은 고공엔진이다. 발사체가 대기권 밖으로 나가 공기가 없는 진공상태에서 비행하는 엔진이다. 북한이 1·2단계 엔진의 분리 단계 후에 문제가 생겼다고 언급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2단 엔진 자체에 문제가 발생했을 수 있다.

이춘근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엔진의 단 분리가 문제라면 문제를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지만, 북한은 진공상태에서 2단 엔진인 고공 엔진을 실제 시험해보지 못했을 가능성이 커 해결방안을 찾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단 분리 후 2단 엔진 대기권에서 미점화 원인인 듯… 자체 진공 실험시설 없어 해결방안 미지수

북한은 재발사도 예고했다. 국가우주개발국 대변인은 "엄중한 결함을 구체적으로 조사 해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기술적 대책을 시급히 강구하며 여러 가지 부분 시험들을 거쳐 가급적으로 빠른 기간 내에 제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 군도 북한의 발사체 잔해를 수거에 나설 예정이다. 수거에 성공하면 추진체 엔진의 성능과 외국 부품 사용 여부, 기술 수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군은 2016년 광명성 4호의 발사체를 수거해 페어링에는 위성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 진동, 그을음 대책 등이 전혀 없어 위성 발사의 목적이 아닌 것으로 결론 맺은 바 있다.

군 안팎에서는 앞으로도 북한이 위성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은 그동안 5번의 위성을 발사했지만 사실상 성공 여부는 장담할 수 없다. 북한이 위성이라고 주장하며 첫 발사체를 발사한 것은 1998년 8월이다. 당시 광명성 1호를 발사했다. 2009년 4월에는 광명성 2호를 발사했다. 하지만 모두 실패했다. 이후 태양절 100주년을 앞둔 2012년 4월 13일 장거리 로켓 ‘은하 3호’에 광명성 3호 1호기를 실어 발사했지만 1단과 2단이 분리되지 않은 채 폭발하면서 또다시 실패했다.

북한은 2012년 12월 12일 광명성 3호 2호기를 발사했다. 광명성 3호 2호기는 북한 측은 물론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도 궤도 진입 사실을 확인했다. 북한은 광명성 3호 2호기 발사 10돌을 맞아 지난 12일 자체 위성의 첫 궤도진입 성공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업적이라고 칭송하기도 했다. 또 2016년 2월 7일 지구관측위성 광명성 4호까지 궤도진입에 성공한 점을 들어 본격적으로 우주강국의 반열에 들어섰다고 자평했다.

문제는 북측의 주장대로 위성발사 성공 여부는 누구도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다. 북한이 궤도진입에 성공했다고 자랑하는 광명성 3호 2호기와 광명성 4호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는 수년째 확인되지 않고 있다. 북한이 다른 나라에 위성 주파수를 가르쳐주지 않는 한 위성을 추적할 수 없어 정상 작동 여부도 확인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북한 당국이 위성 발사를 명목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기술 시험을 진행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