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랑] 암성 통증, 털어놓으면 해결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암센터에서 지난 2주간 '암성 통증, 조절할 수 있습니다!'를 주제로 한 암성 통증 완화 캠페인이 진행됐습니다.
그런데 마약성 진통제 중독이나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암성 통증 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 통증에 대한 표현 부족 등에 의해 제대로 치료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암성 통증 관리 지침에 따라 약물 중독과 그로 인한 금단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사용 지침이 마련돼 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암성 통증의 유형은 매우 다양합니다. 암이 장기를 침범해서 나타나는 ‘체성통’과 ‘내장통’이 대표적입니다. 체성통은 피부나 관절 등에 나타나는 통증으로, 지속적으로 쑤시거나 눌리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내장통은 조이는 듯한 느낌과 함께 구역, 구토, 발한 등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수술 부위의 신경 손상이나 항암·방사선 치료 후 신경섬유 손상으로 인해 저리고 화끈거리며 시리고 따가운 신경병성 통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 암 자체와는 관련 없는 이유로 통증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심리적 요인, 사회경제적 상태, 통증 대처 방법 등 개개인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통증을 경험합니다.
암성 통증은 치료를 통해 대부분 개선됩니다. 암 환자의 70~90%는 적절한 관리를 통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마약성 진통제 중독이나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암성 통증 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 통증에 대한 표현 부족 등에 의해 제대로 치료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증이 있다면 어느 부위이든, 어떤 강도이든 참지 말고 지금 바로 의료진과 상의하세요. 통증이 있을 때 어디가 어떻게 얼마나 아픈지, 어떻게 하면 더 아프고 덜 아픈지, 진통제 투여 효과가 있는지, 투여 후 부작용이 있는지 등을 상세하게 표현할수록 꼭 맞는 도움을 빨리 받을 수 있습니다.
암성 통증이 진단되면, 통증 관리 원칙에 따라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대부분의 통증은 진통제로 조절하며 통증의 원인, 강도에 따라 비마약성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보조 진통제를 사용합니다. 많은 환자들이 우려하는 것과 달리 암성 통증을 위해 사용되는 마약성 진통제에 중독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암성 통증 관리 지침에 따라 약물 중독과 그로 인한 금단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사용 지침이 마련돼 있습니다. 진통제 내성 역시 흔하지 않으며 강한 진통제를 썼다고 해서 나중에 내성이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처방받은 진통제가 지속성(서방형) 진통제라면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면 됩니다. 중간에 돌발성 통증이 나타날 경우, 속효성 진통제를 복용하는 게 좋습니다. 이외에 신경차단 치료, 방사선 치료, 수술 및 비약물적 치료로 통증을 조절합니다.
암성 통증은 치료로 충분히 없앨 수 있습니다. 아프다고, 더 아플까봐 걱정하지 마세요. 증상이 악화되기 전에, 지금 바로 통증을 관리하기 시작하세요. 암 주치의와 함께라면 효과적으로 암성 통증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암 환자 지친 마음 달래는 힐링 편지부터, 극복한 이들의 노하우까지!
포털에서 '아미랑'을 검색하시면, 암 뉴스레터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미랑] 면역력 높이는 ‘한 끼 식사’ 구성하는 법
- [아미랑] 항암 치료 ‘가이드’에도 허점은 있습니다
- [아미랑] 음식이 고통이 되지 않도록
- [아미랑] 아무리 좋은 식재료라도… 조리법 틀리면 영양소 달아나요
- [아미랑] 암에 걸렸을 때, 해야 하는 운동은…
- [아미랑] 이유 없이 줄어드는 근육, 회복 방법은…
- [아미랑] 가족과 의료진이 내게 준 ‘두 번째 인생’
- 소변, 눈물보다 깨끗해… 그래도 배뇨 후 손 씻어야 하는 이유
- 코에 빼곡히 박힌 ‘이것’, 손으로 짜면 절대 안 되는 이유
- 세계적 모델 지젤 번천, 건강 위해 2년째 끊은 '이것'… 뭐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