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적으로 돌아가는 일상… 그 소중함 느끼고 매 순간을 따뜻하게 기억했으면”

유경진 2023. 5. 31. 03: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준아(52) 작가는 지난해 유방암 2기 판정을 받았다.

김 작가는 같은 해 8월 종양제거 수술을 받고 요양병원에서 항암치료를 병행하고 있다.

전시회엔 김 작가를 비롯해 6명의 동료작가가 출품한 아크릴화 점묘화 수채화 사진 설치미술 등 20여점의 작품이 선보이고 있다.

김 작가는 4대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작업 활동과 육아 등을 핑계로 교회를 멀리해 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핼러윈 참사 희생자 애도 위해
공동 전시회 연 김준아 작가
김준아 작가가 지난 26일 서울 종로구 아트스페이스 이색에서 전시 중인 ‘달맞이꽃’ 옆에서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김준아(52) 작가는 지난해 유방암 2기 판정을 받았다. 예상치 못한 진단이었다. 몸이 평소보다 좋지 않아 병원을 찾았는데 암 선고를 받은 것이다. 김 작가는 같은 해 8월 종양제거 수술을 받고 요양병원에서 항암치료를 병행하고 있다.

지난 19일부터 서울 종로구에 있는 ‘아트스페이스 이색’에서는 특별한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김 작가는 10·29 핼러윈 참사로 세상을 떠난 젊은이들을 마주하면서 전시회를 열기로 결심했다. 주제는 ‘내 삶을 애도하는 방법’이다. 전시회엔 김 작가를 비롯해 6명의 동료작가가 출품한 아크릴화 점묘화 수채화 사진 설치미술 등 20여점의 작품이 선보이고 있다.

지난 26일 갤러리에서 만난 김 작가는 “유가족과 지인들은 아무런 예고 없이 사랑하는 자식 혹은 친구를 떠나보내야 했다”면서 “나라면 어떻게 내 삶을 애도했을지 궁금했다”며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 이어 관람객을 향해 “기계적으로 돌아가는 일상의 소중함을 느끼고 매 순간을 따뜻하게 기억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덧붙였다.

눈여겨볼 작품은 김 작가가 요양병원에서 그린 ‘달맞이꽃’이다. 푸른 배경에 노란색 달맞이꽃 네 송이가 하늘을 향하고 있다. 참사 희생자들이 하늘나라에서는 행복하길 바라는 김 작가의 마음이 녹아있다.

암 투병 기간은 김 작가에게 신앙 회복을 경험하게 만든 시간이기도 했다. 김 작가는 4대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작업 활동과 육아 등을 핑계로 교회를 멀리해 왔다. 덩달아 코로나19로 교회가 예배당 문을 닫으면서 그는 신앙과 점점 더 멀어졌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역경의 시간은 그를 더 단단하게 만들었다.

김 작가는 “인생의 어려운 시기를 보낼 때 부모님이 물려준 유산인 ‘신앙’이 불현듯 떠올랐다”면서 “부모님은 신앙을 통해 어떤 상황에서든 이겨낼 수 있는 힘을 물려주셨다”고 고백했다. 부모님의 신앙교육 방식을 뒤늦게 깨달았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신앙생활을 한다고 마냥 행복하지만은 않습니다. 하나님은 누구에게나 역경과 고난을 허락하시는 분입니다. 다만 신앙은 그 과정을 극복할 힘의 원천이 되는 겁니다.”

인터뷰 내내 긍정의 힘을 내뿜었던 그는 계속해서 다양한 작품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전시회는 31일까지다.

글·사진=유경진 기자 ykj@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