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논단] 진화하는 K

2023. 5. 29. 04: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미성 연세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한국 문화가 세계로 퍼지면서
글로벌 브랜딩으로 쓰는 'K'

한국인의 문화 유전자가 과거
역사 상처에서 벗어나 건강한
자긍심 회복하게 된 것이 수확

문화적 민족주의에 빠지는 건
경계하고 다른 인종·국가를
배려하는 문화 감수성 갖춰야

‘K’가 확산하고 있다.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와 아이돌 그룹이 아시아 지역에서 인기를 끌던 1990년대부터의 현상을 한류(韓流)라고 부르던 것이 ‘코리안 웨이브(Korean wave)’란 영어로 대치되는 듯하더니 최근에는 ‘K컬처’란 단어가 더 많이 쓰이고 있다. 중화권 미디어들이 처음 쓰기 시작했다는 ‘한류’란 단어에는 한때 유행처럼 왔다 사그라질 파도라는 질투의 시선이 내포돼 있다. 반면 한국 열풍이 아시아를 넘어섰음을 알리는 상징적 표현이 K컬처다. 2020년대 이후 한국 문화가 세계로 퍼지고 있음을 확신하며 최근 해외와 한국 미디어 모두 글로벌한 브랜딩으로 ‘K-’를 쓰고 있는 것이다. 초창기 한류를 견인했던 K팝, K드라마, K시네마에 이어 K뷰티, K패션, K푸드로 확장되던 ‘K-’가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기 시작했다. K라면, K버거, K스타트업, K흥…. 모든 것에 K가 붙기 시작하며 K가 대한민국의 부캐(부가적 캐릭터)로 거듭나고 있는 중이다.

그러다 보니 K가 반드시 긍정의 의미로 쓰이는 것만은 아니다. K방역이란 말을 들으면 우리의 시민의식에 대한 자긍심과 지난 정부의 자화자찬에 대한 민망함이 뒤섞인 복잡한 심경이 된다. K정치라는 표현에는 경제력과 문화 수준에 한참 못 미치는, 나아질 줄 모르는 한국 정치에 대한 냉소적 시선이 담겨 있다. K가 긍정의 의미가 될지 부정의 의미가 될지는 우리 하기에 달렸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류부터 K까지 한국 문화의 확산을 바라보는 현상에는 여러 겹의 시선이 중첩돼 있다. 우리 문화를 바라보는 외국인들, 그 현상을 바라보는 한국인들, 그 한국 열풍을 견제하고 폄훼하는 외국인들, 한국에 대한 호기심에 이끌리는 더 많은 외국인들, 그 바깥세상의 관심에서 멀어지는 날이 올까 불안한 한국인들…. 한국 대중문화를 다른 나라 사람들도 좋아한다는 사실을 처음 인지한 것이 한류 현상이기에 한류를 바라보는 우리 기준점은 처음부터 우리를 바라보는 외국인들 시선에 놓여 있었다. 우리 음식에 감탄하고 우리가 사는 도시를 멋지다고 하는 외국인들 모습에 뿌듯해하며 인정의 주체를 타자로 보는 시각이 팽배해진 것이다. 자존감이 부족하면 타인의 인정이 성공의 척도가 된다. 외국인들이 좋아해주니 우리의 취향과 문화도 꽤 괜찮은 것이었나 뿌듯해하다 어느 순간 그 위상이 달라질 날에 대한 불안감이 스며들면서 한류 열풍의 지속가능성을 논하는 포럼도 많아졌다.

한 나라의 문화 경쟁력인 소프트 파워는 하루아침에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오랜 전통, 지식, 기술, 교육이 집약돼야 가능하다. 1945년 해방 당시 문맹률 70%가 넘었다는 한국인들이 자원이 부족한 좁은 땅에서 가난해도 공부해야 한다는 믿음으로 배우고 익히며 발전의 차원을 넘어 진화를 거듭한 결과가 21세기 한국이다. K컬처에는 진정한 코리아(Korea)가 없다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은 21세기 현재 우리의 문화정체성을 새롭게 정립해가는 중이다. 한국인의 고유 정서는 ‘한’이 아니라 ‘흥’이었음을, 전통은 박제된 과거가 아니라 유동적이고 만들어지는 현재진행형임을 보여주고 있는 중이다. 한국인의 문화 유전자가 길을 잃고 헤맸던 과거 역사의 상처와 트라우마에서 벗어나 건강한 자긍심을 회복하는 것, 그것이 한국 문화 열풍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수확이다.

다만 자존감은 잃지 않되 자만심에 빠져서는 안 된다. 문화적 민족주의에 빠져 모든 것을 우리 중심으로만 보는 시각도 경계해야 한다. 한국 영화와 드라마에 지난날 우리가 겪었던 집단적 트라우마를 회한과 향수로 돌아보는 콘텐츠가 많다 보니 배경이 되는 동남아시아, 남미, 중동 국가들이 과거에 머문 듯 뒤처진 모습으로 재현되는 일들도 생겼다. 영화 ‘수리남’을 둘러싼 논란처럼 다른 국적, 인종을 가진 사람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할 수 있다.

진정 모든 것이 투명하게 드러나는 21세기 타인들과 공존하는 지구촌에서 다른 인종, 국가,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을 배려하는 문화 감수성을 갖춰야 한다. 한국은 혈연에 기반한 전통적 단일민족 국가에서 시민권에 기반한 글로벌 다문화 사회로 급격히 변모하는 중이다. 그 변화의 물결이 버거울 수 있지만 외면해서는 안 된다. 진화하는 K는 진화하는 한국인이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우미성 연세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