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산골 한 초등학교에서 펼쳐진 클래식의 향연

장지영 2023. 5. 29. 04: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7일 오후 강원도 평창군 방림면 계촌마을.

계촌초등학교 옆 상설무대 클래식 파크에 계촌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으로 구성된 '별빛오케스트라'가 잇따라 무대에 올랐다.

한예종 음악원 졸업생들이 매주 계촌 마을을 찾아 학생을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계촌클래식축제 역시 막을 올리게 됐다.

그동안 다양한 아티스트와 계촌별빛오케스트라가 참가한 계촌클래식축제는 꾸준히 성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평창에서 계촌클래식축제 열려
초·중학생 오케스트라 연주에
KBS교향악단·박재홍 무대 꾸며
지난 27일 강원도 평창군 방림면 계촌마을에서 계촌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으로 구성된 ‘별빛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음악을 연주하고 있다. 현대차정몽구재단 제공


지난 27일 오후 강원도 평창군 방림면 계촌마을. 계촌초등학교 옆 상설무대 클래식 파크에 계촌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으로 구성된 ‘별빛오케스트라’가 잇따라 무대에 올랐다. 하필이면 오전부터 조금씩 내리던 비가 굵어졌지만, 학생들은 개의치 않고 연주했다. 계촌초등학교 별빛오케스트라는 드보르자크의 ‘신세계’ 등 클래식 모음곡을 선보였고, 계촌중학교 별빛오케스트라는 브람스의 ‘헝가리 무곡’ 5번 등을 선보였다. 300여 명의 관객은 우비를 입은 채 잔디마당에 돗자리를 깔고 앉거나 서서 끝까지 학생들의 연주를 감상했다.

올해 9회째인 계촌클래식축제(26~28일)가 8월의 무더위와 우천을 피해 5월로 옮겼지만 비의 심술을 뿌리치지 못했다. 하지만 계촌을 찾은 예술가와 관객 모두 축제를 즐겼다. 대형 가설무대가 설치된 클래식 필드의 경우 날이 맑았던 26일 개막일엔 피에타리 잉키넨이 지휘하고 피아니스트 안나 비니츠카야가 협연하는 KBS교향악단이, 비가 내린 27일엔 피아니스트 박재홍과 크누아 윈드 오케스트라가 무대에 섰다. 26일엔 평창군민이 대다수인 2500여명 정도가 모였고, 27일엔 평창군 외에 다양한 지역에서 온 3000여 명이 콘서트를 감상했다. 박재홍은 “빗속에서 자리를 떠나지 않고 끝까지 음악을 듣는 관객들을 보며 감동받았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올해는 현대차정몽구재단과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 산학협력단이 주관하는 계촌클래식축제가 지역 주민과 좀 더 하나가 되는 것을 고민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실례로 계촌마을 뒷길을 차 없는 거리로 만들고 특산품을 판매하는 부스가 만들어지는가 하면 예년과 달리 곳곳에 축제 관련 조형물이 세워졌다. 또한, 축제 기간 프린지 페스티벌이 마련돼 평창 면온초·진부중오케스트라 등 평창지역 학생과 지역주민이 펼치는 공연이 열리기도 했다.

원래 계촌마을은 고랭지 배추로 유명한 곳이지만 한적한 시골 마을이 그렇듯 지속적인 인구감소에 직면해 있었다. 그런데 지난 2009년 폐교 위기에 몰린 계촌초등학교에 전교생을 단원으로 하는 오케스트라가 창단되면서 변화가 시작됐다. 강릉시교향악단 출신인 권오이 당시 교장이 주도한 별빛오케스트라가 안팎의 주목을 받으며 폐교 위기를 넘긴 것이다. 2012년에는 계촌중학교 별빛오케스트라 창단으로도 이어졌다. 이에 현대차정몽구재단과 한예종은 2015년 계촌마을을 ‘예술마을 프로젝트’ 대상으로 선정했다. 한예종 음악원 졸업생들이 매주 계촌 마을을 찾아 학생을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계촌클래식축제 역시 막을 올리게 됐다.

그동안 다양한 아티스트와 계촌별빛오케스트라가 참가한 계촌클래식축제는 꾸준히 성장했다. 지난해에는 반 클라이번 콩쿠르 최연소 우승자로 세계 클래식계에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피아니스트 임윤찬이 출연한 덕분에 이틀간 1만명 넘는 관객이 계촌을 찾기도 했다. 하지만 관객 증가와 반비례해 축제의 근본인 계촌 별빛오케스트라에 대한 관심은 줄었다는 지적도 있다. 올해 축제를 앞두고 계촌초등학교 학부형 2명이 만든 그림동화책 ‘수상한 마을’은 그런 안타까움을 잘 보여준다. 이동연 계촌클래식축제 총감독(한예종 교수)은 “10주년이 되는 내년을 새로운 도약의 계기로 삼을 계획”이라면서 “축제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와 해외 클래식 마을 초청 등 다양한 행사를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창=장지영 선임기자jyjang@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