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 음식 지나치게 먹으면, '암' 위험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인에게 매운맛은 스트레스 해소법이자 일상이다.
먼저, 매운 음식의 스트레스 해소 효과는 탁월하다.
실제로 멕시코 콜리마대 연구팀이 매운맛과 감정 변화 사이 상관관계를 동물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있었다.
매운맛을 건강하게 즐기려면 적정량을 섭취하는 게 가장 중요하며, 먹을 땐 우유, 달걀 등 매운맛을 중화하는 음식을 함께 섭취해 위장에 가는 자극을 줄이는 것이 좋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운 음식 먹으면 엔도르핀 분비돼
먼저, 매운 음식의 스트레스 해소 효과는 탁월하다. 우리 혀는 매운맛을 통각으로 인식한다. 뇌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진통 호르몬인 '엔도르핀'을 분비하는데, 이 호르몬은 통증을 줄일 뿐만 아니라 기분도 좋게 한다.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아드레날린 수치도 올라가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는데, 땀 등 노폐물이 배출되면 시원하고 개운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고추), 알리신(마늘), 피페린(후추) 등이 직접적으로 뇌의 수용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매운맛을 내는 성분을 43도 이상 고온을 감지하는 수용체 'TRPV1'가 활성화되는데, 이 수용체는 감정을 조절하는 뇌 속 대뇌변연계에 존재한다. 실제로 멕시코 콜리마대 연구팀이 매운맛과 감정 변화 사이 상관관계를 동물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있었다. 다만, 불안감은 낮추지 못했다.
◇지나친 매운맛은 암 유발해
매운 음식을 먹은 뒤 기분이 좋아지는 건 일시적인 현상이다. 매운 음식을 과도하게 먹으면 위 점막이 손상돼 위염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캡사이신은 소화가 잘 안돼,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위장을 자극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매운 음식은 위와 식도 사이 조임근을 느슨하게 해, 소화불량과 속 쓰림도 유발할 수 있다. 대장 조직도 자극해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상을 악화하기도 한다.
심할 경우, 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캡사이신이 암세포를 공격하는 자연살해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려 위암을 비롯한 암 발생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서울아산병원 김헌식 교수팀 연구에 따르면, 캡사이신 자체가 발암물질은 아니지만 캡사이신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자연살해세포의 세포질 과립방출 기능장애를 일으켜 암 발생을 촉진한다.
매운맛을 건강하게 즐기려면 적정량을 섭취하는 게 가장 중요하며, 먹을 땐 우유, 달걀 등 매운맛을 중화하는 음식을 함께 섭취해 위장에 가는 자극을 줄이는 것이 좋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스트레스 받을 땐 ‘매운 떡볶이’… 효과 있다
- 김안과병원, 제31회 캄보디아 의료봉사 성료
- 용인세브란스병원, 비뇨의학과 로봇 수술 300례 돌파
- 전세계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이 홍콩에 모인 이유
- [뷰티업계 이모저모] 토니모리 ‘원더 세라마이드 모찌 토너’, 누적 판매 300만 개 돌파 外
- 전자약 플랫폼 기업 와이브레인, 우울증 전자약 마인드스팀 누적처방 18만건 돌파
- BTS 슈가, 세브란스에 50억 기부... 자폐 치료 ‘민윤기 센터’ 세운다
- 일산차병원, 개원 5주년 팝업 행사 개최
- 드림성모안과, 올해로 25주년 맞아… "환자에게 귀 기울이는 문화 이어갈 것"
- [의학칼럼] 헷갈리는 어깨 통증, '이렇게' 구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