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때 자꾸 오줌 마려워 깬다면? ‘이 병’ 신호일 수도

신소영 기자 2023. 5. 28. 0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밤에 자다 한 번 이상 소변을 보는 '야간뇨' 때문에 잠을 충분히 못 자는 사람들이 많다.

보통 방광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의외로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밤중 소변이 마려울 수도 있다.

◇변비아동에게는 변비 때문에 밤중에 소변이 마려운 경우도 종종 나타난다.

장에 대변이 차면 방광을 누르는데, 이때 방광 신경이 방광이 찬 것으로 인식해 뇌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단순 방광 문제 외에도 고혈압, 당뇨병, 전립선비대증 등의 질환이 있을 때 자다가 소변이 마려운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밤에 자다 한 번 이상 소변을 보는 ‘야간뇨’ 때문에 잠을 충분히 못 자는 사람들이 많다. 보통 방광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의외로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밤중 소변이 마려울 수도 있다. 어떤 게 있을까?

◇고혈압
고혈압이 있다면 밤에 자다 일어나 소변을 보는 상황이 잦을 수 있다. 실제로 일본 토호구로사이병원 연구팀에 따르면 야갼뇨가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고혈압 발생률이 40% 높았다. 또 야갼뇨 횟수가 잦을수록 고혈압 발생 위험이 더 컸다. 이는 과도한 나트륨 섭취가 원인으로 추정됐다.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면 혈중 나트륨 농도가 정상 수준을 초과하면서 몸이 갈증을 느끼게 되고, 수분 섭취가 늘어 야간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 나트륨 과다 섭취는 혈관 벽을 수축시키고, 혈액 중 수분을 증가시켜 혈압을 올린다. 한편, 고혈압약에는 이뇨제가 포함된 경우가 많다는 것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당뇨병
밤에 자다 소변을 자주 본다면 당뇨병 때문일 수 있다. 당뇨병 환자는 ▲빈뇨 ▲잔뇨감 ▲급박뇨 ▲요실금 ▲야갼뇨 등 각종 배뇨 문제를 겪을 수 있다. 높아진 혈당이 신경에 손상을 일으켜 방광을 민감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당뇨병 환자는 과민성 방광에 걸릴 위험이 2배 이상으로 높다는 중국의 연구 결과도 있다. 따라서 갈증이 나 물을 많이 마시게 되고, 체중이 빠지며, 피로함을 자주 느끼고, 화장실을 자주 가게 되는 사람은 한 번쯤 당뇨병 검사를 받아보는 게 안전하다.

◇전립선비대증
남성의 경우, 전립선비대증으로 요도가 눌려 밤중에 소변이 마려울 수 있다. 전립선비대증은  남성이 노화하면서 앓게 되는 질환인데, 빈뇨와 야간뇨 외에도 소변 줄기가 약해지거나, 소변을 볼 때 뜸을 들여야 소변이 나오거나, 소변을 다 본 후에도 개운하지 않는 등의 배뇨장애가 나타난다. 전립선비대증이 있으면 여러 합병증으로 신장 기능까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의심된다면 비뇨기과를 찾아 조기에 치료받는 것이 좋다.

◇스트레스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때도 야갼뇨 횟수가 늘어날 수 있다. 실제로 2017년 한림대성심병원 비뇨기과 연구팀이 19~103세 남성 9만2626명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남성에서 야간뇨 경험자 수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남성보다 1.3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규칙적인 운동으로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는 게 좋다. 카페인이 든 탄산음료는 이뇨작용을 상승시키므로 피해야 한다.

◇변비
아동에게는 변비 때문에 밤중에 소변이 마려운 경우도 종종 나타난다. 장에 대변이 차면 방광을 누르는데, 이때 방광 신경이 방광이 찬 것으로 인식해 뇌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야갼뇨가 있는 아동이라면 변비가 있는지 확인 후 변비를 우선 치료하는 게 좋다. 실제로 아동 야뇨증 환자의 변비를 치료했더니 환자의 64%가 치료됐다는 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 연구 결과도 있다. 평소 물, 과일, 채소 등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하고 적절한 유산소 운동을 하면 변비 완화에 도움이 된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