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명의 뇌사자, 장기기증으로 9명에게 새 삶 선물
◇장기이식 대기자 4만 명, 기증자는 400명
불의의 사고, 만성질환 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장기이식을 기다리고 있다. 그런데 대기자에 비해 실제 뇌사기증자 수는 적다. 2022년 10월 기준 한국 장기이식 대기자 수는 4만 446명이고, 뇌사기증자 수는 442명이었다. 장기이식 대기자의 평균 대기시간은 약 5년 4개월이며, 2021년에는 2480명이 장기이식을 기다리던 중 세상을 떠났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박무용 장기이식센터장(신장내과)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이 2022년 발간한 ‘2021년도 장기 등 이식 및 인체조직기증 통계연보’에 따르면 뇌사 이식자 기준 장기이식 시 11년 생존율은 73.45%다”며 “장기기증은 한 사람을 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가족과 공동체까지 구할 수 있는 가치 있는 행동”이라고 말했다.
올해는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지 24년이 되는 해다. 그동안 장기이식 및 기증에 대한 제도가 발전해왔다. 의료기술도 발전해 장기이식 수술도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장기기증 희망등록자 수는 173만7753명으로, 인구 대비 약 3%대에 머물러있다.
◇부정적 인식 큰 장기기증, 아직도 시신 처리는 유가족 몫?
장기이식 희망등록자 수가 적은 가장 큰 이유로는 장기기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꼽힌다. ‘장기·인체조직기증에 대한 인식조사’에 의하면 2020년 국민 10명 중 약 6명이 장기·인체조직기증 의사가 ‘있다’고 대답했다. 그런데 실제 기증 희망등록에 참여한 비율은 14.6%에 불과했다. 장기기증을 주저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신체 훼손에 대한 거부감’이 36.5%, ‘막연한 두려움’이 26.8%였다.
결정타는 지난 2017년 병원이 장기기증자 시신 처리를 가족에게 떠밀었다는 언론 보도였다. 당시 기증자의 아버지는 병원이 장기적출을 마친 24세 아들의 시신을 ‘가지고 가라'고 했다고 주장했다. 보도 이후 처음으로 장기기증자가 전년보다 줄었다. 당시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시신 이송 등 유족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었지만 업무협약을 맺은 병원에 그치고 있었다. 업무협약을 맺은 병원 수는 장기이식을 하는 병원의 절반가량이었다.
2017년 이후 장기기증 유족 지원책은 꾸준히 개선됐다.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은 기증원과 협약을 맺지 않은 병원도 기증자와 유족이 지원받을 수 있도록 지침을 바꿨다. 2018년 4월부터는 장기기증을 한 후 다른 장례식장으로 시신을 옮길 때도 이송을 지원하고 있다. 또 지자체별로 다르지만 장례비와 제사비, 기증 전 진료비도 지원한다. 정부는 2021년 ‘장기·인체조직 기증 활성화 기본계획’을 통해 유가족 지원 서비스 표준을 마련해 정서적 지지가 중요한 기증자 가족에게 소홀함이 없게 하겠다고 밝혔다.
장기기증자에 대한 사회적인 예우도 강화되고 있다. 정부는 매년 9월 두 번째 주간을 ‘생명나눔 주간’으로 지정하고 장기기증자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고 있다. 지난 4월에는 기증인의 의미 있는 나눔을 기억하고 유가족이 위로를 얻을 수 있도록 서울 보라매공원 내에 국내 최초로 ’뇌사 장기기증인 기념공간‘도 마련됐다.
◇해외 사례 참고해 더 체계적으로 “내가 생명을 구하는…”
장기기증 활성화 제도를 더욱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 장기기증이 활성화된 나라의 제도를 참고할 필요도 있다. 스페인, 프랑스, 영국 등 장기기증에 있어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나라는 ‘opt-out 제도(모든 사람이 잠재적인 장기기증 대상자로, 장기기증을 거부하는 경우 미리 신고를 해야 하는 제도)’를 통해 장기기증을 활성화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국민 정서와 의료시스템상 opt-out 제도를 적용하기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동의 의사를 표현해야 기증할 수 있는 ‘opt-in’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2020년 기준 100만 명당 장기기증률은 38명으로 스페인과 함께 세계 최고의 기증률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 내 50개 주에 60개가 넘는 장기조달기구가 있으며 장기조달기구와 의료기관 간 네트워크가 잘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또 초등학교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기기증 교육프로그램이 구축돼 있다.
박무용 센터장은 “환자들은 길게는 10년까지 장기이식을 기다리고 그 기간을 견디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는 환자들도 많다”며 “장기기증은 ‘나도’ 할 수 있는 가치 있는 행동으로 소중한 생명을 구할 기회다”라고 말했다. 또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전환을 통해 더 많은 환자가 이식수술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돼지가 시한부 환자 살렸다… 美 연구팀, 최초 돼지 심장 이식
- 돼지 심장 이어 ‘신장’까지… 美서 뇌사자에게 이식 성공
- “아직도 코로나 있나요?” 클레오 채은정 ‘황당 발언’, 환자 계속 느는데…
- 조영남 “반신불수 될 뻔”… 모르고 지나친 ‘이 증상’ 뇌경색 신호?
- “10분 밖에 안 지났다고?”… 스타강사 정승제, 땀 뻘뻘 흘린 ‘이 동작’ 효과는?
- “3년간 여러 차례 대수술” 배우 김예령… 암에 난소 종양까지, 무슨 일이?
- “애 셋 엄마 맞아?” 제시카 알바, ‘이 옷’ 입고 건강미 뽐내… 운동할 때 최고?
- “‘세 가지’ 증상 무시했다가, 암 진단”… 영국 30대 女, 전조 증상 뭐였나?
- 일산백병원 이승환 교수, 대한불안의학회 이사장 취임
- 식약처, 한과·약과·떡 등 설 음식 위생 실태 점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