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째 ‘이 약’ 먹고 있다는 여에스더… 효과 어떻길래?

신소영 기자 2023. 5. 26. 13: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24일 여에스더는 유튜브 채널 ‘여에스더의 에스더TV’에서 3년 가까이 탈모약을 복용 중이라고 밝혔다./사진=유튜브 채널 ‘여에스더의 에스더TV’ 캡처

가정의학과 전문의 겸 방송인 여에스더(58)가 3년 가까이 탈모약을 복용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24일 여에스더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 '여에스더의 에스더TV'에서 '여에스더가 3년째 먹고 있는 탈모약? Q&A'라는 영상을 통해 탈모약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는 “나의 자랑은 모발과 피부였는데 ‘아내의 맛’ 촬영 당시 안 좋은 일로 인해 체중이 7~8kg 빠졌다”며 “그 후로 2년 뒤 야외 촬영을 하는데 정수리 머리가 다 빠져있었다”고 고백했다. 이어 “그때 후배한테 진단받고 탈모약(미녹시딜)을 먹으라고 해서 먹고 엄청 좋아졌다”고 말했다. 3년 가까이 탈모약을 먹었다는 여에스더는 "탈모 때문에 마음고생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불필요한 데 돈 쓰지 말고 꼭 전문가를 찾아가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탈모약은 어느 시점부터, 어떻게 먹어야 효과를 볼 수 있을까?

◇탈모 시작 느끼면 바로 치료해야
탈모는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알려졌다. 머리가 본격적으로 빠지기 전, 탈모가 시작됐다고 느끼는 초기부터 치료를 시작해 끈기를 갖고 최소 3~6개월, 1년 이상 꾸준히 약을 먹어야 한다. 탈모 초기에 조처할수록 다시 자란 머리칼도 더 건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탈모가 진행됐더라도 너무 절망할 필요는 없다. 전문가들은 머리가 많이 빠지기 시작할 때 약물 복용을 시작해도 늦지 않다고 말한다. 이날 여에스더 역시 “탈모약은 이미 탈모가 온 상태라도 진행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탈모가 조금 진행됐어도 적극적으로 복용하라고 말씀드린다”고 말한 바 있다.

◇남성형 탈모, 먹는 약+바르는 약 시너지 효과
탈모는 원인과 유형, 성별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유전적·호르몬 원인에 의한 남성형 탈모는 경구용 치료제를 복용하면서 바르는 약을 사용하면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대표적인 경구용 약물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는 남성형 탈모를 유발하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을 억제해 모발이 가늘어지고 빠지는 현상을 막아준다. 바르는 약인 ‘미녹시딜’은 모낭으로 가는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모낭의 성장 기간을 늘려 모발이 튼튼하게 잘 자라도록 돕는다. 실제 해외 연구에 따르면 바르는 미녹시딜 치료제를 하루 2번 사용하고 경구용 약 피나스테리드를 복용했을 경우, 남성형 탈모 참여자 94%가 탈모 치료에 효과를 봤다.

◇여성 탈모, 저용량 미녹시딜만 사용해야
다만, 여성 탈모 환자는 3% 이하의 바르는 미녹시딜만 사용해야 한다. 여성이 4% 이상의 미녹시딜 외용제를 사용하면 털이 나지 않던 턱이나 입술 주변, 가슴 등에 털이 나는 다모증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남성형 탈모 환자가 먹는 약을 여성이 복용하면 기형아 출산 가능성이 커진다. 간혹 폐경 이후 여성의 안드로겐성 탈모에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먹는 미녹시딜은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와 부작용이 없을지 상담 후 사용해야 한다.

◇꾸준한 약 복용·건강한 생활습관이 중요
탈모 치료는 꾸준히 약을 복용하고 치료를 잘하면 대부분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단, 각 치료제는 용량과 사용 횟수를 정확히 지켜서 사용해야 한다. 효과를 높이겠다고 더 많은 양의 약을 사용하면 혈압이 떨어지거나 맥박이 빨라지는 등 심각한 건강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치료 후 머리카락이 나기 시작해도 도중에 약을 끊으면 언제든 탈모가 다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흡연과 음주는 물론, 기름진 음식과 인스턴트 음식은 피해야 하며, 외출 후에는 머리를 깨끗이 감아 두피에 쌓인 노폐물을 꼼꼼히 씻어내는 게 좋다. 말릴 때는 찬바람으로 두피 속까지 꼼꼼히 말린다. 모자를 쓰거나 머리를 묶을 경우 모발에 힘이 많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기사의 타임톡 서비스는
언론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