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봐도 거북목이라면… '이렇게' 고쳐보세요

이해나 기자 2023. 5. 26. 07: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평소 어깨가 자주 결리고 머리가 아팠다면 거북목 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목은 7개의 뼈로 이뤄져 있으며, 정상적인 목뼈는 옆에서 봤을 때 'C자' 형태를 가지고 있다.

거북목 증후군은 이 C자 형태가 무너지면서 앞으로 목이 굽어 역 C자 형태가 되거나 일자에 가까운 형태로 변형되는 질환이다.

◇목·어깨·머리 쪽 근육 함께 긴장돼 통증 유발거북목 증후군은 경추통(척추뼈 중 목을 담당하는 부위에 발생한 통증), 후두부 통증(뒷머리 통증), 양쪽 어깨 통증을 유발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거북목 증후군 초기에는 바른 자세 유지, 목을 뒤로 젖히는 운동, 가벼운 스트레칭 등으로 증상이 완치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평소 어깨가 자주 결리고 머리가 아팠다면 거북목 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목은 7개의 뼈로 이뤄져 있으며, 정상적인 목뼈는 옆에서 봤을 때 'C자' 형태를 가지고 있다. 거북목 증후군은 이 C자 형태가 무너지면서 앞으로 목이 굽어 역 C자 형태가 되거나 일자에 가까운 형태로 변형되는 질환이다. 증상과 치료법은 무엇일까?

◇목·어깨·머리 쪽 근육 함께 긴장돼 통증 유발
거북목 증후군은 경추통(척추뼈 중 목을 담당하는 부위에 발생한 통증), 후두부 통증(뒷머리 통증), 양쪽 어깨 통증을 유발한다. 목이 몸 앞쪽으로 기울어지게 돼 목에 걸리는 하중이 정상적인 상태보다 증가하기 때문이다. 고개가 1cm 앞으로 나올 때마다 목에 2~3kg 정도의 하중이 추가로 더해진다. 하중을 받게 되면 목, 어깨 근육에 과도한 긴장이 생기게 되고 머리 쪽 근육도 함께 긴장한다. 결과적으로 편두통과 유사한 증상을 느낄 수 있다. 목 근육은 머리 뒤쪽까지 연결돼있기 때문이다. 증상을 방치하면 뒷목 뼈가 점점 두꺼워지면서 커지는 버섯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퇴행성 질환인 디스크나 협착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목이 C자 형태인 이유는 한 가지 동작을 수행할 때 디스크에 걸리는 압력을 나누기 위한 것이다. 일자목이나 역 C자 형태가 되면 모든 추간판(디스크)이 한가지 동작에서 같은 일을 해야 해 추간판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바른 자세 유지하기
거북목 증후군의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바른 자세 유지하기다. 척추는 경추(목뼈), 흉추(등뼈), 요추(허리뼈)가 따로 움직이는 게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요추의 문제로 경추에 병변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등을 곧게 펴는 자세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책상 앞에 앉을 때는 엉덩이를 등받이에 바짝 붙이고 턱을 약간 당기는 자세를 취한다. 스마트 기기를 사용할 때는 기기를 눈높이로 들어 올려 약 15도 위를 응시하는 자세를 유지하는 게 좋다. 초기에는 이같은 바른 자세 유지, 목을 뒤로 젖히는 운동, 가벼운 스트레칭 등으로 완치도 가능하다. 스트레칭 방식은 다음과 같다. 깍지를 끼고 엄지손가락으로 턱 밑을 받친 후 천천히 고개를 들어올린다. 이후 다시 손깍지를 뒤통수에 대고 고개를 숙인다. 위·아래 스트레칭을 마친 뒤에는 한쪽 손끝을 반대쪽 귀에 댄 후 고개를 옆으로 기울이며 눌러준다. 양쪽을 번갈아 눌러주고 대각선 방향으로도 눌러준다. 머리 위에 얹지 않은 한쪽 손을 아래로 뻗으면 승모근 긴장을 푸는 데 도움이 된다. 모든 자세는 등을 제대로 편 상태에서 5~10초간 유지해야 한다.

거북목 증후군이 이미 진행된 경우라면 6개월 이상 꾸준히 재활 운동 치료를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 몸은 한번 기억한 행동에 대해서는 유지하려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