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칼럼]'잊지 않으려는' 마음‥내가 매일 글을 쓰는 이유

2023. 5. 25. 12: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나는 매일 글을 쓴다.

정확히 말하면 365일 중에 350일 정도는 글을 쓴다.

매일같이 글을 쓰는 근본적 이유에는 '잊지 않으려는' 마음이 큰 지분을 차지한다.

일단, 내가 어떤 주제의 책을 읽었는데 그 주제에 대해 말하거나 쓸 일이 있으면 내가 썼던 글을 찾아보면 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쓰지 않으면 중요한 내용 잊어
'하만하천' 처럼 글 쓰는 삶의 가치
많은 사람들이 함께 느끼길

나는 매일 글을 쓴다. 정확히 말하면 365일 중에 350일 정도는 글을 쓴다. 이때의 ‘글’은 직장에서 쓰는 글 이외의 글, 그러니까 개인적으로 쓰는 신변잡기의 글들을 의미한다. 머릿속에 떠도는 온갖 생각, 하루치의 일기, 삶에 대한 고민, 콘텐츠를 보고 쓴 리뷰 등 끊임없이 글을 쓰는 일에 익숙하다.

글을 쓰는 방식이나 시간도 제각각이다. 출퇴근하는 지하철에서 ‘블루투스 키보드’ 하나를 들고 휴대폰과 연결하여 쓰기도 한다. 때로는 다이어리에 쓰기도 하고, 노트북으로 쓰기도 한다. 그렇게 쓴 글은 혼자 볼 때도 있지만, 많은 경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공유한다. 그렇게 다양한 생각들을 사람들과 나누면 거기에서 오는 ‘소통의 즐거움’으로 다시 글 쓰는 의욕을 얻기도 한다.

매일같이 글을 쓰는 근본적 이유에는 ‘잊지 않으려는’ 마음이 큰 지분을 차지한다. 가령, 나는 읽은 책에 대해 ‘쓰지’ 않으면 얼마 지나지 않아 중요한 내용을 대부분 잊어버린다. 1~2년쯤 지나고 나면 어떤 책들을 읽었는지도 잘 기억나지 않는다. 그래서 책에서 무언가 감동을 받거나 깨달은 게 있으면 가능한 한 그 ‘느낌’이 사라지기 전에 글을 쓰려고 하는 편이다.

이렇게 기록하는 습관을 들여두면 유용한 점이 많다. 일단, 내가 어떤 주제의 책을 읽었는데 그 주제에 대해 말하거나 쓸 일이 있으면 내가 썼던 글을 찾아보면 된다. 그러면 그 책에서 내가 어떤 포인트에 감명 받았는지를 매우 효율적으로 기억해낼 수 있다. 내가 쓴 글은 일종의 내 기억의 지도가 되는 셈이다. 나아가 그런 글들을 카테고리별로 잘 모으면 한 권의 꽤나 단정한 기록 모음, 즉 책이 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영화나 드라마에 대한 리뷰를 쓰는 이유도 비슷하다. 드라마를 몇 주에 걸쳐서 정주행하고 나더라도 며칠만 지나고 나면 그 드라마에서 느꼈던 마음을 반쯤은 잃어버린다. 영화가 감동적이어도 그 여운이 일주일 이상은 농도 짙게 가기 어렵다. 그래서 가장 농도가 짙을 때, 가장 마음이 생생할 때 그것을 기록해두려 애쓴다.

살아가다 보니 내가 무언가를 단순히 경험하는 것보다도, 그 경험을 어떻게 소화하고 남길 것인가가 더 중요한 게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든다.

똑같이 여행, 강의, 독서, 영화, 연애, 일 같은 걸 경험하더라도 그냥 휘발되어 사라지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그것들이 무언가 축적되어 더 의미있는 것들로 남는 경우들이 있다. 인생의 관건은 그러한 ‘의미 있는 남김’을 어떻게 쌓아갈 것인가가 아닌가 싶다.

그저 지나간 하루나 가까운 곳으로의 여행도 나는 꼬박꼬박 기록하려고 한다. 그때 그곳에서만, 그 시절에만 느낄 수 있는 것들이 그 순간에 있기 때문이다. 나중에 그렇게 써놓은 글들을 보면 눈물이 날 때가 있다. 그냥 대단치 않은 일도 그때의 그 마음이 생생하게 살아있고 그것을 다시 느낄 수 있다는 것 자체에서 그런 마음이 들곤 한다. 그렇게 보면 글쓰기란 기억의 지도를 만드는 것을 넘어서 때로는 타임머신을 타고 잠깐 과거로까지 가볼 수 있는, 인류에게 허락된, 일종의 마법적인 일이기도 한 셈이다.

아시아경제에서도 올해 계속 이어가고 있는 ‘하루만보 하루천자’ 프로젝트가 많은 사람들에게 의미있는 경험이 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매일 쓰는 삶의 가치를 많은 사람들이 느끼길 바라본다.

정지우 문화평론가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