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다수, 냉장고 넣으면 맛없다? 가장 맛있게 마시는 법 [비크닉]
산물
그런데 알고 보면 제주도는 그 어디보다 물이 풍부한 곳입니다. 무슨 소리냐고요? 땅 위에 흐르는 물이 없었을 뿐, 보이지 않는 땅 밑에선 물이 쉴 새 없이 흐르고 있거든요. 토목 기술의 발전으로 제주도는 자연 정수된 깨끗한 생수를 맘껏 마시고 이를 육지로도 공급하는 곳으로 변했습니다. 오늘 비크닉은 제주도라는 거대한 천연 정수기가 만든 물, '제주삼다수' 이야기입니다.
밥보다 물 귀한 제주…땅 파니 지하수 쏟아졌다
공장 안에선 물병을 생산하는 라인이 쉼 없이 돌아가고 있었어요. 제주도엔 공병을 만드는 업체가 없습니다. 육지에서 수급하려면 유통비가 더 들기 때문에 직접 병을 만드는 거죠. 원수(原水)를 여과 처리해 병에 집어넣고, 검사 후 라벨을 붙여 출하하면 우리가 아는 생수가 완성됩니다. 연평균 생산량만 100만t에 달하죠.
삼다수의 시초는 1995년 12월 이 공장 인근 지하 420m에서 취수한 화산 암반수였어요. 천연 지하수의 존재를 확인한 제주도가 강수량이 풍부하고 오염원이 없는 이곳의 땅을 팠더니 엄청난 양의 지하수가 쏟아졌어요.
같은 해 '먹는 물 관리법'이 제정되면서 국내 생수 시장이 활짝 열립니다. 제주도는 제주도지방개발공사(현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를 설립, 삼다수 개발과 관리에 들어갔어요. 소비자 조사와 시장 분석을 통해 제주의 이미지를 녹인 제주삼다수를 브랜드명으로 택했어요. 원통 일색이었던 생수 물병을 사각형으로 만들어 디자인도 차별화했어요. 사각병은 일렬로 세웠을 때 빈 곳이 없어 적재 효율도 높죠.
"누가 물을 사 먹어?" 보리차 끓여 먹던 한국인 변한 이유
그런데 시장에 나온 삼다수의 인기는 예상보다 폭발적이었어요. 판매 첫 달엔 매출 9억원, 다음 달엔 18억원, 그다음 달엔 20억원으로 쑥쑥 성장합니다. 출시 한 달 만에 먹는샘물 시장 약 30%를 점유했어요. 무더위가 시작된 6월부턴 매진 행렬에 재고가 동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죠.
그렇게 25년간 국내 생수 시장 점유율 약 40%를 유지하며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삼다수, 비결은 무엇일까요. 삼다수 측은 제주 청정 자연을 담은 원수의 우수성을 꼽았어요. 땅속에서 화산송이(scoria)와 클링커(clinker)층이 천연 거름망 역할을 한 덕분이에요. 클링커층은 땅이 산 정상에서 삼킨 빗물을 바다로 흘려보내는 통로이기도 하죠.
삼다수는 왜 비싼가
Q : 삼다수의 장점은?
가장 큰 장점은 깨끗하다는 것이다. 삼다수는 한라산 위쪽인 해발 1450m에서 만들어진 지하수다. 청정 지대인 한라산 국립공원 지하 12km를 흐르며 천연 정수된다. 먹는샘물은 지하수 그 자체가 상품이기 때문에 원수 품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Q : 원수가 오염될 가능성은?
잠재 오염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축구장 면적 약 100개 규모의 취수원 주변 토지를 매입했다. 품질 유지를 위해 법이 규정한 기준(연 2회)을 넘어 매일 수질 분석을 진행한다. 106개 관측소에서 3시간마다 시료를 샘플링해 분석하고 생산 시스템을 모니터링한다. 그 정보를 '먹는 물 수질 연구소', '삼다수 스토리' 등 홈페이지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Q : 삼다수는 왜 비싼가?
비싸다는 건 오해다. 2ℓ 생수 한병이 육지에선 1080원 정도지만 제주 내에선 700원 수준이다. 지역 사회에 환원하는 차원에서 제주도에 유통되는 물량은 별도로 관리하고 출고가도 낮춰서 공급하고 있지만, 아무래도 바다를 건너면 그만큼 운송비용이 추가된다.
Q : 연간 100만t씩 생산하면 지하수가 고갈되는 것 아닌가?
그럴 일은 없다. 삼다수는 고인 물이 아니라 흐르는 물이다. 고지대에 내려 지하수가 된 빗물 일부를 취수해 만드는데, 그마저도 바다로 흘러간 물이 다시 증발하면 또 비로 변해 다시 지하수가 된다. 제주도는 전국에서 비가 제일 많이 내리는 지역이다. 평균 대비 1.5배 이상이다. 비가 지하수로 스며드는 비율도 40%(전국 평균 15%) 수준으로 높다. 지하 수위가 떨어지는 정도 역시 실시간으로 예측하며 관리하고 있다.
Q : 삼다수의 목표는?
제주삼다수를 대한민국 대표 상품으로 만들고 싶다. 지금도 중국·일본·미국·인도·필리핀 등 세계 21개국에 수출한다. 제주도민, 나아가 국민이 마실 양을 확보하는 게 우선이기 때문에 아직 많은 양을 수출할 수는 없다. 연구·개발(R&D)을 통해 생산량을 늘리면 좀 더 많은 지역으로 수출할 수 있을 것이다. 삼다수를 통해 아름다운 섬 제주도를 널리 알리고 싶다.
물을 맛있게 마시는 방법도 있다
박영민 기자 park.yungmi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평생 날 못 잊게 하겠다” 전 남친의 충격적인 유서 | 중앙일보
- 악취진동 '똥'인가 했더니…고래 뱃속서 발견된 '7억짜리 로또' | 중앙일보
- "네가 뭔데 F를 줘?" 학생 평가에…흥분한 교수는 '고소' 꺼냈다 | 중앙일보
- '제2 돌려차기' 충격…엘리베이터서 폭행 뒤 성폭행 시도한 20대 | 중앙일보
- "대낮 막걸리 5병이나 마셨다"…文·이낙연 밥상 위 '나라 걱정' | 중앙일보
- "이재명 되겄소?" "이낙연 쪼까 서운"…민주당 텃밭, 광주 심상찮다 | 중앙일보
- "키 163㎝, 줄무늬 노란색"…오늘도 340명이 사라졌다 | 중앙일보
- 제주바다에 '방사능 욱일기' 펼쳐졌다…해녀·어선 12척 학익진 시위 | 중앙일보
- "사실 여자화장실 몰카범도 잡았어요" 이천수 아내 남편 자랑 | 중앙일보
- 비 쫄딱 맞으며 생중계하자…불쑥 나타나 우산 씌워준 '훈남'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