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업계 향한 간편결제 '역습'…"플랫폼 진화해야"
간편결제업체와 적용 법 달라
간편결제 시장 확대로 카드업계의 역할이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모바일 결제 수요가 커지는 와중 간편결제 시장에서의 빅테크와의 경쟁이 강화되고 있지만 정작 카드사들은 각종 규제 등에 발목이 잡혀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카드사들이 비(非) 카드 회원과 가맹점으로 고객 기반을 확대해 수익을 창출하는 생활금융플랫폼으로 진화하는 등 간편결제 기능을 고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1일 한국신용카드학회가 ‘지급결제시장 재편과 여전사의 경영전략’을 주제로 진행한 세미나에서 박지홍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향후 카드사들이 빅테크와 플랫폼 경쟁에서 밀려 고객 접점을 빅테크 간편결제 서비스에 내주게 되고 카드사는 결제시장 위상 약화 및 데이터 확보에 어려움이 커질 수 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즉 간편결제 서비스 경쟁에서 밀린 카드사들이 시장에서 역할이 축소되고, 벤더화가 진행될 수 있다는 의미다.
아울러 최근 인터넷전문은행들은 라이선스 취득을 통한 카드업 직접 진출을 추진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고객기반, 데이터, 연결성 등 카드업 핵심 요소에 있어 우위를 갖춘 빅테크의 진입은 카드사들의 위협적인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 빅테크 및 커머스의 간편결제 사용 규모가 큰 MZ세대를 중심으로 선불충전 사용이 지속 증가하는 점도 업계 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요소다.
오픈페이 기반 간편결제 기능을 고도화해 기존 간편결제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그 이상의 고객 경험을 줄 수 있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박 연구위원은 “카드업은 기존 카드 회원을 넘어 비카드 회원과 가맹점으로 고객 기반을 확대하고 종합금융 및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로 수익을 창출하는 생활금융플랫폼으로 진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카드사 간 제휴 서비스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재 카드사들은 제한적인 형태의 상품중개플랫폼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데, 향후 생활금융플랫폼으로의 확장을 위해서는 지금보다 강화된 상품중개 서비스까지 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CB등 이종업체와의 데이터 협력을 확대해 금융 및 비금융 데이터 연계 생태계를 확대하고 데이터 기반 가맹점 정보 제공 사업, PLCC, BNPL 등 데이터 기반의 신사업을 검토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다만 리스크 등을 고려해 신중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내놨다.
이밖에 전문가들도 신용카드 비중이 점차 줄어들며 성장률은 둔화되고 있어 간편결제 시장에서의 리스크 관리 및 플랫폼 진화가 향후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서봉교 동덕여대 중국학과 교수는 “간편결제 플랫폼은 지급결제(신용카드) 이상의 혁신적인 비즈니스”라고 평가하며 “간편결제 플랫폼들이 신용카드와 독립적인 결제망 구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용카드의 결제를 지급 수단에서 데이터를 활용한 종합 지급 플랫폼으로의 진화 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카드사를 향한 엄격한 규제를 둘러싼 지적도 나왔다. 석일홍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는 “이부분이 간편결제업체와 카드사들의 경쟁력에 있어서 아무 많은 차이를 둔다”며 “간편결제업체들은 겸업, 부수업 규제에서 제한을 받지 않는 반면 카드사들은 일부 금융업만 겸업이 가능하고, 진입규제도 신규허가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수수료율 규제 역시 간편결제업체들은 영세‧중소가매아점에 대한 수수료율이 카드사 대비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카드사들은 적격비용에 따라 수수료를 산정하는 등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간편결제업체와 카드사간 다른 기준과 역할 구분과 경쟁력, 시장 확대에 따른 비용 등에 관한 의견이 제시됐다.
윤종문 여신금융연구소 박사는 “결국 애플페이가 시발점이 돼서 전반적인 간편결제 서비스에 대한 비용문제가 인상될 가능성이 크고 이 부분이 업계 화두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밖에 서지용 한국신용드학회장은 “오프라인 간편결제의 강자인 삼성페이와 빅테크 페이업체간의 제휴, 현대카드와 애플의 사업제휴, 카드사간 앱카드 상호 연동 서비스 등 최근 간편 결제시장에서는 서비스 업체간 합종연횡의 대결 구도도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업체간 공동대결 구도는 결제 편의성을 제고시켜 소비자의 마음을 얻기 위한 전략적 포석이라 판단된다”며 “다만 보안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결제 편의성 제고 외에도 안전한 거래를 위한 서비스 제공은 필수적 요건이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 사람밖에 없다, 다른 스폰 있느냐"…'이정근 녹취록'과 맞아 떨어지네
- 평산책방서 껴안은 문재인·이재명…'지지층 결집' 총력전
- [단독] 정의선 '전기차 생태계 구축' 특명에...현대제철, 모터용 전기강판 만든다
- 김남국 '60억 코인' 논란…'내부정보설'에서 '로비설'로 증폭?
- 2030 역린 건드린 '익절' 김남국…野, 총선 위기감에 '손절' 분위기
- "국민이 주인"…이재명 1심 선고 후, 민주당 '조기대선' 사활
- 이준석 뒤늦은 '尹 공천개입' 주장에…국민의힘서는 "공정했다더니?"
- 북한 '쓰레기 풍선' 살포…김여정 담화 후속조치
- 그림자까지 분석…‘디테일’이 가르는 요즘 콘텐츠 성패 [D:방송 뷰]
- ‘병역 혜택 줘야?’ 국제 대회 경쟁력 상실한 한국 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