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 폭발적 증가…"부업이 월급 제쳤다" MZ 뛰어든 업종

정진호 2023. 5. 9. 14:1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다니던 직장을 퇴사한 이모(29)씨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운동 관련 상품 판매를 전업으로 하고 있다. 이씨는 회사에 다니던 지난해 추가 수입을 얻기 위해 온라인쇼핑몰을 부업으로 했는데 매출이 잘 나오자 회사까지 그만뒀다. 그는 “주로 주말에 상품 구하고 업데이트하는 등 부업으로 쇼핑몰을 한 건데 조금만 더 하면 회사 월급보다 많이 벌 것 같아 퇴직하고 집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5년 새 쇼핑몰 148%, 카페 80% 증가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국세청이 9일 내놓은 생활밀접업종 국세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100대 생활업종 중 온라인쇼핑몰과 같은 통신판매업이 최근 5년 사이 가장 많이 늘었다. 커피전문점의 증가세도 폭발적이었다. 5년 사이 코로나19 확산 등 비대면업종으로선 악재까지 닥쳤지만,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청년층이 쇼핑몰과 카페 운영에 대거 뛰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통신판매업은 54만3088개로, 5년 전인 2018년(21만8616개)보다 148.4% 증가했다. 업종별 사업자로 봤을 때 그다음으로 증가율이 높은 건 펜션‧게스트하우스였다. 같은 기간 115.2% 증가해 2만3957개를 기록했다. 카페는 5만1696개에서 9만3069개로 늘었다. 증가율만 80%에 달한다.

카페 증가세가 다른 업종과 비교해도 이례적으로 빠르다 보니 편의점‧분식점‧옷가게와 같은 길거리에 흔히 볼 수 있는 매장보다 숫자가 많아졌다. 편의점(5만1564개)보다 4만개 이상 많다. 반대로 간이주점과 호프전문점 등 술집은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같은 비대면업종에 음료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곳이라지만, 카페와 희비가 엇갈렸다. 간이주점은 5년 새 33.8%, 호프전문점은 25.7% 줄었다. 술을 동반한 회식보다 커피를 마시는 가벼운 자리를 선호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됐다는 풀이가 나온다.


카페·헬스장, 청년사업자 비중 높아


통신판매업과 커피전문점의 가파른 증가세를 이끈 건 2030 젊은 세대다. 연령별 사업자 수를 보면 카페 사업자의 13.8%가 30대 미만, 27.7%가 30대로 나타났다. 이른바 MZ세대(1981~2010년 출생)인 40대 미만이 카페 사장의 41.6%에 달했다. 100대 생활업종 전체로 봤을 때 40세 미만이 27.2%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카페는 젊은 층 사업주 비중이 이례적으로 높은 업종이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통신판매업은 청년층의 창업 접근성이 높다 보니 40세 미만 사업자 비중이 전체의 55.4%를 차지했다. 또 헬스클럽과 피부관리업의 2030 사업자 비중이 전체의 56.9%, 49.8%를 차지하는 등 젊은 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사업자가 급격히 증가한 데다 젊은 세대가 주로 포진하다 보니 통신판매업과 카페 등의 존속연수는 상대적으로 짧았다. 100대 생활업종 평균 사업존속연수는 8년9개월인데 통신판매업은 2년7개월, 커피음료점은 3년1개월에 불과했다.

세종=정진호 기자 jeong.jinh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