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프로축구 40번째 생일...질적 양적 성장으로 미래 준비한다

이은경 2023. 5. 8. 08: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꼭 40년 전 오늘 프로축구가 태어났다. 

K리그는 ‘슈퍼리그’라는 명칭으로 1983년 5월 8일 서울 동대문운동장에서 할렐루야와 유공의 경기로 역사에 첫발을 디뎠다.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당시 슈퍼리그는 완전하 프로라고 보기 어려운 점도 있었다. 출범 첫해 할렐루야 독수리, 유공 코끼리까지 2개 구단만 프로팀이었다. 여기에 대우 로얄즈, 포항제철 돌핀스, 국민은행 까치 등 3개 실업구단까지 총 5개팀 체제로 슈퍼리그가 출발했다. 

1982년 출범한 프로야구는 구단별 확실한 연고지를 두고 시작했지만, 프로축구는 달랐다. 연고지 개념 없이 먼저 시작했고, 어린이팬을 위한 마케팅이나 굿즈 제작도 없었다. 도시를 옮겨다니면서 대회를 치러 ‘유랑극단’이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 경기장에는 구름관중이 몰렸으나 이들은 대부분 응원하는 프로팀에 대한 충성도 높은 팬이 아니라 국가대표팀 선수들의 플레이를 보기 위해 경기장에 온 이들이었다. 

지난 40년간 프로축구는 축구 경기력 자체의 발전도 물론 있었지만, 그 이상으로 리그 운영과 마케팅에서 눈에 띄는 발전을 거듭했다. 

현재 K리그는 1, 2부 통틀어 25개팀 체제로 운영 중이다. 

울산과 포항의 동해안 더비.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한국프로축구연맹(연맹) 권오갑 총재는 K리그 출범 40주년을 맞이한 올해 1월 신년사를 통해 “2023년을 K리그 재도약 원년으로 삼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를 위해 ▲팬들과 함께 하는 40주년, ▲재정 건전화 제도 안착, ▲K리그 산업 가치 상승, ▲경기의 재미와 수준 향상, ▲축구 저변 확대 등을 2023년의 중점 추진 과제로 제시했다. 

그렇다면 연맹은 연초 내걸었던 중점 추진 과제를 얼마나 진행해가고 있을까. 

먼저 팬 참여와 소통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개막 미디어데이에 팬 200명을 직접 초청했고, 올해 설립한 ‘K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자 선정에도 팬이 직접 참여하도록 했다. 

경기 전 인터뷰.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또한 지난 2년간 준비해온 K리그 재정 건전화 제도가 올해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재정건전화 제도는 구단의 전체 예산 중 선수단에 투입되는 부분과, 유소년, 마케팅, 인프라 등 구단의 자생력을 갖추기 위해 투입되는 부분을 적정 비율로 유지하는 것이다. 

연맹은 이미 지난 2013년 첫 경영 공시를 시작하고 유료 관중 비율과 객단가를 공개해온 데 이어 2018년부터는 전면 유료 관중 집계만 실시하는 등 K리그의 재정 투명성을 위해 노력해왔다. 한발 더 나아가 올해 재정 건전화 제도를 통해 구단이 합리적인 예산을 수립하고 지출을 관리해 K리그 구단 재무 상태를 개선하고자 하고 있다. 

K리그 산업 가치 상승으로 지속 성장 구조를 만드는 것도 장기 과제다. 최근 K리그는 자체 미디어센터 설립, K리그 중심의 스포츠채널 운영, 해외 OTT 서비스 출범 등 다양한 시도를 거듭하며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려 노력 중이다.

프로축구는 올해부터 쿠팡플레이와 파트너십을 통해 국내 프로스포츠 최초 유료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 독점 중계를 실시하는 파격적인 시도를 했다. 17대의 카메라 현장 투입으로 중계 퀄리티를 높이고, 인기 연예인 현장 인터뷰와 프리뷰 쇼 등이 팬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이 밖에도 경기의 재미와 수준 확산을 위해 다양한 부가 데이터를 활용한 컨텐츠를 만들어 미디어와 팬들에게 공개하고 있는데, 올해에는 K리그 패킹 지수, 피지컬(활동량) 데이터 라는 신규 컨텐츠를 만들어 K리그 경기를 더욱 재밌게 볼 수 있는 새로운 즐길거리 제시하고 있다.

올해부터 충북청주FC와 천안시티FC가 K리그2에 새롭게 참여한 것도 저변 확대를 위한 노력 일환이다. 이를 통해 K리그1 12개 팀, K리그2 13개 팀 체제를 구축하게 됐다. K리그는 프로 팀 운영에만 그치지 않고, 구단의 유소년 육성 시스템 운영을 의무화하여 연고 지역 내 유소년 축구 활성화, 지역밀착활동 등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올 시즌 ‘관중 훈풍’도 주목할 만하다. K리그1 기준 10라운드까지 총 61만9168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고, 평균 관중 1만319명으로, 지난해 10라운드까지 평균 관중 3991명의 2배를 훌쩍 넘는 수치다. 승강제가 도입된 2013년 이후 10라운드까지 평균 관중이 1만 명을 넘은 적 없었음을 감안하면 눈에 띄는 수치다.

이은경 기자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