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멍쇠 위에 새겨진 은실…세 모녀, 운명처럼 반했다

홍지유 2023. 5. 8. 0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업 잇는 문화재 장인


홍정실 입사장 보유자(오른쪽)와 김선정 이수자 모녀는 금속 표면을 쪼아 생기는 홈에 금실·은실을 채워 무늬를 만들어낸다. “입사는 기술이 아니라 예술”이라고 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어머니가 창가에서 햇볕을 받으며 정(釘)으로 작업하시는 모습을 어릴 때부터 지켜봤어요. 그러던 어느 날 ‘정을 잡아볼래’라고 물어보시더라고요. 그렇게 입사를 배우게 됐죠. 거스를 수 없는 운명처럼요.”

김선정(51) 입사장(入絲匠) 이수자는 처음 정질을 배운 날을 이렇게 기억했다. 그는 홍정실(76) 입사장 보유자의 딸이다. 쌍둥이 동생 문정씨도 입사장 이수자다. 지난달 13일 서울 강남구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에서 만난 김 이수자는 “세 모녀가 같은 일을 하니 운명 같은 일”이라며 “어머니는 스승이면서 제가 존경하는 예술가”라고 말했다.

입사는 금속 표면을 쪼아 홈을 만들고, 그 자리에 금실·은실을 채워 매화·난·대나무·학·사슴 등 무늬를 만드는 기술이다. 금속에 정질을 반복하면 그 표면이 까끌까끌한 그물망처럼 변한다. 입사장은 이 거스러미를 이용해 은실을 박는다. 거스러미 위에 은실을 놓고 망치로 치면 거친 표면 사이에 은실이 달라붙는 원리다.

선이 아닌 면도 실로 표현한다. 실을 하나씩 붙여 박아 면적을 넓히는 식이다. 작은 필통 하나를 만드는 데, 정질과 은실을 입히는 과정을 합쳐 3개월 넘게 걸린다. 관절염과 시력 저하는 고질병이다. 홍 입사장은 “허리가 너무 아파 작업 시간 외에는 온종일 서서 생활할 때도 있다. 그래도 그런 과정 없이 뭘 할 수가 있겠나”라며 웃었다.

쌍둥이인 김선정·김문정 입사장 이수자가 만든 ‘철제금은입사대금’. 대금 몸통에 입사했다. [사진 길금공예연구소]

홍 입사장은 조선 시대 마지막 경공장(京工匠, 왕실·관청 소속 장인)이자 초대 입사장 보유자 고 이학응 선생을 사사했다. 대학에서 미술공예를 전공하고 미대 교수가 된 그는 전통문화 연구자인 고 예용해 선생의 저서 『인간문화재』를 읽고 입사의 길에 들어섰다. 당시 그의 마음을 사로잡은 건 “천만다행으로 은입사 하는 분이 이 세상 어디에 살아 있다면, 세계에 자랑할 민속공예를 되살릴 거룩한 존재가 될 것”이라는 문장이었다. 그는 “거멍쇠(그을음을 입힌 검은 색 무쇠) 위에 새겨진 은실을 보고 한눈에 반했다”며 “끊어진 맥을 이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회상했다.

맥이 끊어진 입사 기법을 전수받기 위해 전국의 미술사학자와 고고학자들에게 수소문했다. 7년 만에 이학응옹을 찾았다. 당시 78세의 이옹은 입사를 배우러 제 발로 찾아온 30대 초반의 홍 입사장을 손녀처럼 아꼈고, 별세 직전까지 10년간 전통 입사기법을 전수했다. 홍 입사장은 “유물이나 서적으로만 배웠던 입사를 손으로 만져가며 배우기 시작했을 때의 희열을 잊을 수 없다”고 돌이켰다.

홍 입사장은 연구를 위해 고미술품점에 갈 때마다 대학생이던 딸을 데리고 갔다. 방학에는 함께 인도·중국·일본 등지에서 현지 전통 공예기법을 익혔다. 모녀는 창작의 고민도 함께 나눴다. 김선정 이수자는 “잊힌 문화를 복원하겠다는 목표가 버거울 때도 있었지만, 이제는 운명으로 받아들인다. 어머니를 팬으로서 응원하는 마음도 크다”고 했다.

인문계열 학부를 나온 김선정 이수자는 미술을 배우기 위해 한국예술종합학교에 들어갔다. 입사는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배웠다. 홍 입사장은 “입사는 기술이 아닌 예술”이라며 “재료와 무늬에 대한 연구도 창작 활동의 일부”라고 했다. 그는 요즘도 고미술전에 가 공예 장식기법을 연구하고 유물을 모은다. 또 전통 기법이지만 현대적인 작품을 만들기도 해, 홍 입사장 작품 중에는 젊고 세련된 감각이 돋보이는 게 많다.

홍지유 기자 hong.jiy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