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상환 미뤄준 대출 37조…은행 ‘숨겨진 부실’ 우려
주요 은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후 상환을 미뤄준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이 37조원 가까이 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금융 지원 조치가 예정대로 오는 9월 끝난다면 지금까지 수면 아래에 있던 잠재 부실이 드러날 수 있어 금융권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7일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 따르면 이달 4일까지 원금이나 이자 납기가 연장된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잔액은 36조6206억원에 이른다. 은행권은 지난 2020년 코로나19가 국내 발생한 이후 정부 방침에 따라 각종 대출의 원금 상환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납부를 유예하는 금융 지원 조치를 시행했다. 당초 2020년 9월까지 하려고 했던 지원 조치는 코로나19 시국이 길어지면서 5차례 연장된 뒤 올 9월 종료될 예정이다.
금융 지원이 재연장되지 않는다면 9월부터는 대출자는 상환을 시작해야 한다. 그러나 경기 둔화로 기업의 상환 능력이 약해져 있어 하반기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잠재돼 있던 부실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금융지주는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대출 상환이 안 돼서 발생할 손실을 대비해 쌓아두는 돈)을 늘리는 등 부실 위험에 대비하고 나섰다. 5대 지주가 공시한 1분기 실적에 따르면 이들 금융사는 총 2조270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다. 전년 동기 대비 155.6% 증가한 규모다.
은행별로도 연체율 등 건전성 관리에 들어갔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내부 조직인 ‘금융시장·실물경제 복합위기 비상 대응 협의체’를 구성해 위험 취약 부문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중소기업의 대출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고정금리로 대환해주고, 원금 상환이나 이자 납부가 어려워 연체가 발생하는 기업의 정상화를 위해 올해 말까지 모든 중소기업의 연체 가산금리를 2%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 하나은행은 올해 2월 ‘리스크 관리 태스크포스팀(TFT)’ 조직을 신설해 취약 대출자의 연착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 금융 지원 조치를 연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언젠가는 끝이 날 것이므로 종료 이후 대출의 건전성을 미리 관리해야 한다”며 “부실 가능성이 높은 대출자를 찾아내는 등 대책을 계속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제2금융권까지 보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 위험 노출액 문제도 있기 때문에 하반기 곳곳에서 터질 수 있는 부실에 대한 준비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짚었다.
임성빈 기자 im.soungbi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세븐·이다해, 8년 연애 끝 오늘 결혼…축가는 태양·거미 | 중앙일보
- 박대출 "사룟값 못받자 '개 버린' 뒤 모델 달력 팔아"…문 비하 논란 | 중앙일보
- 악! 나랑 매일 뽀뽀하는데…우리 강아지가 똥을 먹어요 | 중앙일보
- "부모님댁 김치냉장고 확인하세요"…화재 417건 접수된 '이 제품' | 중앙일보
- 우즈, 전 애인으로부터 성추행 폭로당해 | 중앙일보
- 자녀 4명 둔 유부남이…미혼인 척 결혼 약속, 1억 뜯어냈다 | 중앙일보
- 문 책방 열정페이 논란…"민간 사업장서 왜 자원봉사 모집?" | 중앙일보
- 조합장 선거 앞두고 돌린 뇌물 봤더니…'발기부전 치료제' | 중앙일보
- "한동훈 보니 보안이 철저"...요즘 민주당이 꽂힌 휴대전화 | 중앙일보
- 무면허 음주운전 40대, 단속 걸리자 친언니 주민번호 불렀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