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군 창립일을 국군의 날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민족·민주진영에서는 오래 전부터 '국군의 날'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군인 광복군이 창건된 날로 바로잡아야 한다는 주장을 펴왔다.
<광복군 창립일을 국군의 날로> 라는 시론이다. 광복군>
'국군의 날'을 정하는데 있어서 미군의 뜻에 의하여 창설된 국방경비대의 창설일로 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임시정부의 법통계승이 헌법에도 명문화 된 마당에 국군의 날을 광복군 창립일로 바꾸는 것이 옳다고 믿어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삼웅 기자]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의 가릉빈관에서 열린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기념사진 |
ⓒ 독립기념관 |
민족·민주진영에서는 오래 전부터 '국군의 날'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군인 광복군이 창건된 날로 바로잡아야 한다는 주장을 펴왔다. 김자동 역시 같은 뜻이었다. 하지만 쉽게 바뀌지 않았다. 그는 이를 다시 제기하였다. <광복군 창립일을 국군의 날로>라는 시론이다.
대한민국 헌법은 전문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제헌 이후 헌법기초위원들 사이에는 이러한 문구를 넣자는 주장이 있었으나 이승만의 반대로 좌절된 후 1987년 개헌에서야 명문화되었다. 아마도 민주화세력으로부터 군사독재세력들이 정통성을 얻기 위해 임시정부를 업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 평화재향군인회는 18일 국회도서관에서 토론회를 열고 국군의 날을 광복군 창설일인 9월17일로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평화재향군인회는 18일 국회도서관에서 토론회를 열고 국군의 날을 광복군 창설일인 9월17일로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박지훈 |
잘못된 것들을 거론하려면 끝도 없으나 일단 본론으로 들어가겠다.
국군은 1946년 미군정이 미국의 필요에 따라서 창립한 조선국방경비대의 후신이다. 그리고 경비대시대부터 그 주된 구성원은 일제의 앞잡이들이었으며 정신상태도 일본군을 본뜬 것이다. 지금도 상급자가 하급자에 대하여, 혹은 선임자가 후임자에게 폭행을 가하는 습관은 다 일제의 잔재인 것이 아닌가?
이런 것을 생각하면서도 나라가 제대로 되고 국군이 제대로 되려면 우선 뿌리를 광복군으로 돌리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 든다.
대한민국임시정부가 1919년 창립된 직후에는 만주의 항일 무장단체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었다. 그러나 그 후 몇 년 동안 임시정부의 국내모금 조직들이 속속 붕괴되고 경제적으로 극심한 곤란에 빠지면서 만주 무장 세력과의 유대도 점차 약화되었다. 30년대 초에 이르러서는 임정에서 청년들을 중국의 각 군관학교로 보내 후일을 대비하는 정도에 그쳤다. 1934년에는 임정 김구 국무령과 중국의 실권자인 장개석 군사위원장 사이에 중국 중앙군관 학교 낙양분교에 한인반을 설치하는 합의를 본 일도 있었다.
어쨌든 1940년 9월 17일에야 임정이 처음으로 조국광복에 투입할 목적으로 광복군을 창설하였다. 임시정부의 국군이 탄생한 것이다. '국군의 날'을 정하는데 있어서 미군의 뜻에 의하여 창설된 국방경비대의 창설일로 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국군이 38선을 돌파한 날을 국군의 날로 설정한 모양이다.
이제 국군의 날은 어디까지나 국군 창설일이라는 본래의 의미에 충실해야 한다. 임시정부의 법통계승이 헌법에도 명문화 된 마당에 국군의 날을 광복군 창립일로 바꾸는 것이 옳다고 믿어진다. (주석 2)
주석
2> <경북일보>, 2007년 9월 3일.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인물열전 - 시대의 상식인 김자동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통령 회식비 공개가 국가 중대이익 침해? 굉장히 미심쩍다"
- "아이는 다 컸지요?" 이 질문이 불편합니다
- 스쿨존 사고의 한국적 대안 : '초품아 영끌' 혹은 '가방 덮개'
- 분신 건설노동자 빈소에 '근조화환' 하나 안 보낸 여권
-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자유대한의 품으로 왔건만
- [이충재 칼럼] '윤석열 1년' 싸우기만 했다
- 아이 몸에 촘촘히 새겨주고 싶은 기억
- 윤 대통령 지지율 3%p 올라 33%... 역대 취임1년 지지율로 두번째 낮아
- 예의도 없고 부끄러움도 모르는 여당 출입기자입니다
- 대통령 회동 재차 거절한 박광온 "대통령, 야당 대표 먼저 만나는 게 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