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인의 자해 고백 후… 여성 청소년 자해 급증했다

신은진 기자 2023. 5. 4. 05: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디어를 통해 공개된 자해 콘텐츠가 소아청소년 자해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클립아트코리아
TV, 유튜브와 같은 각종 미디어 채널을 통해 공개되는 유명인의 자해 관련 콘텐츠가 청소년의 자해 실행을 부추긴다는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특히 또래 유명인의 자해 경험 고백 등은 청소년이 자해를 현실 돌파 수단으로 여기거나, 트렌드처럼 느끼게 해 더욱 치명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소아정신건강의학과 김효원·이태엽, 융합의학과 김남국 교수팀은 2018년 3월 청소년 대상의 방송 프로그램에서 자해를 다룬 콘텐츠가 방영된 후 청소년 사이에서 자해로 인한 응급실 방문이 유의미하게 늘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가응급환자 진료정보망을 이용해 2015년 1월부터 2018년 12월 사이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 가운데 자해(자살 시도 및 비자살적 자해)로 인한 환자 11만 5647명의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했다.

자해 콘텐츠가 방영된 시점은 2018년 3월 말경으로, 당시 청소년이 주요 출연진이며, 주 시청층 역시 청소년이었던 방송 프로그램에서 자해를 미화하고 정당화하는 내용이 소개돼 청소년 사이에서 화제를 모았다. 연구 결과, 이 프로그램이 방영된 이후 실제 청소년의 자해 급증했다.

월평균 자해로 인한 응급실 방문자 수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자해 콘텐츠가 방영되기 전(2018년 2~3월)과 방영된 후(2018년 4~12월) 차이가 확연히 드러났다. 10~14세의 경우 월별 인구 10만 명당 0.9명에서 3.1명으로 늘었으며, 15~19세는 5.7명에서 10.8명, 20~24세는 7.3명에서 11.0명으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15~19세 여성과 20~24세 남성에서 증가세가 유독 큰 것으로 확인됐다.

연도별로도 차이가 두드러졌다. 연간 자해로 인한 응급실 방문자 수는 10~14세의 경우 2015년 인구 10만 명당 8.1명에서 2018년 31.1명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15~19세는 63.5명에서 119.0명으로, 20~24세는 75.7명에서 127.1명으로 늘었다. 이로써 자해 콘텐츠가 방영됐던 2018년에 들어 자해 시도가 확연히 증가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여성 청소년의 자해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자해로 인해 응급실을 방문한 10~14세 청소년 가운데 여성은 2015년 46.6%를 차지했던 데 비해 자해 콘텐츠가 방영된 2018년에는 76.7%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15~19세에서는 여성 비율이 55.8%에서 67.8%로, 20~24세는 55.7%에서 61.9%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자해 방법으로는 신체 긋기에 의한 자해가 현저히 늘었으며, 약물에 의한 자해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 문제는 2018년 3월 이후 증가한 자해로 인한 응급실 방문자 수가 다시 줄어들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뚜껑이 열렸다'고 표현했다. 김효원 교수에 따르면, 자해 콘텐츠가 방영되기 이전엔 자해 시도로 응급실을 방문한 소아 청소년이 하루 1~2명이었다면, 현재는 최소 3~4명이다.

당시 급증했던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한 자해인증하는 사례도 줄지 않았다. 그는 자해가 심각할 정도로 유행처럼 번진 상황이라고 전했다.

김효원 교수는 “미디어 속 또래 유명인의 자해 고백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위로의 메시지를 전할 수도 있겠으나 실질적으로는 청소년에게 ‘자해는 해도 되는 것’ 혹은 ‘자해는 멋있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디어를 통한 자해 콘텐츠의 확산은 심리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써 자해를 다수의 청소년에게 알린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자해는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의 가장 마지막 단계이다"며, "자해를 반복하고, 강도가 높아지면 자살로 이어질 확률이 크게 높아지기에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미디어에서 표현의 자유는 존중돼야 하지만 미디어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사회적 고민이 필요하다”며, "또한 보호자와 학교에서 아이의 불안과 우울을 이해하고 해소할 수 있게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가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디어가 청소년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 첫 연구인 점에서 의의가 크다. 연구결과는 미국소아정신과학회가 발간하는 국제 학술지 ‘미국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최근호에 게재됐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