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네티즌, 한옥 사진에 별점 테러·악플…“중국 문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우리 문화유산을 활용한 게임·메타버스 창작을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무료로 개방한 문화재 3D 데이터에 중국 네티즌들의 악성 댓글이 달리고 있다.
또 해당 데이터에는 "한국 문화가 아닌 중국의 전통문화"라는 내용의 악성 댓글도 대거 달리고 있다.
일부 중국 네티즌은 데이터에 원색적인 욕설과 함께 "한국 문화는 중국 문화의 일부" "현판과 문양에 한자가 있으니 한국 문화가 아닌 중국 문화" 등의 댓글을 달며 허위 정보를 댓글로 남겼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판과 문양에 한자 있으니 중국 문화” 주장도
정부가 우리 문화유산을 활용한 게임·메타버스 창작을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무료로 개방한 문화재 3D 데이터에 중국 네티즌들의 악성 댓글이 달리고 있다.
1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중국 네티즌들은 에픽게임즈가 운영하는 ‘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에 올라온 한옥 애셋에 평점 ‘1점’을 남기는 등 평점 테러를 하고 있다. 애셋은 게임 제작에 쓰이는 모델링, 텍스처, 사운드 등의 데이터 일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또 해당 데이터에는 “한국 문화가 아닌 중국의 전통문화”라는 내용의 악성 댓글도 대거 달리고 있다. 악성 댓글이 주로 달리고 있는 대상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정보원이 지난달 업로드한 조선시대 전통 건축물과 관련된 데이터다. 구체적으로는 ‘창원의 집’ ‘제주목관아’의 3D 모델 데이터와 각종 전통 문양 이미지 등이 대상이다.
일부 중국 네티즌은 데이터에 원색적인 욕설과 함께 “한국 문화는 중국 문화의 일부” “현판과 문양에 한자가 있으니 한국 문화가 아닌 중국 문화” 등의 댓글을 달며 허위 정보를 댓글로 남겼다. 일부 댓글은 타 이용자의 신고로 ‘부적절한 콘텐츠로 신고돼 검토 대기 중’이란 문구와 함께 가려진 상태지만 악성 댓글은 계속 업로드되고 있다.
한국문화정보원 관계자는 “일부 악성 댓글은 삭제됐지만 여전히 중국어나 영어로 된 새로운 악성 댓글이 올라오고 있다”며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사례를 수집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 네티즌들이 게임 속 한국 전통문화를 자국 것이라고 주장하는 일은 과거에도 있었다. 2020년에는 중국 게임사 페이퍼게임즈가 캐릭터 옷 입히기 게임 ‘샤이닝니키’를 한국에 출시하면서 게임 안에 한복을 추가하자 “중국 명나라 의상인 ‘한푸’(漢服)”라는 주장을 했다. 이에 페이퍼게임즈는 곧바로 한복 의상을 삭제하고, 공식 카페에 중국 네티즌 주장을 옹호하는 공지사항을 올렸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지니형’ 왜 여기에?…尹대통령 “어떻게 오셨냐”
- 임창정, 다른 투자자 행사도? “내가 번 돈 다 쟤한테”
- “따뜻한 선임이자 친구” 임영웅, 군복무 미담 또
- 日 ‘9주 이하’ 낙태약 첫 승인… 낙태죄 폐지된 한국은?
- 진짜 정신 못차린 음주운전, 대낮에도 28명 적발 [포착]
- 떨어뜨린 생후 40일 아들 방치 사망 20대 친모 구속
- [단독] ‘수상한 회장님’ 하한가 폭탄 전 매도, 처음 아니다
- “핸드폰 건넸다가 빚만 9천” 작전 세력이 써먹은 수법
- [단독] ‘수상한 회장님’ 하한가 폭탄 전 매도, 처음 아니다
- “핸드폰 건넸다가 빚만 9천” 작전 세력이 써먹은 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