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연체 늘고 부실채권 비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축은행 업계의 고정이하여신비율과 연체율이 모두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자산건전성에 적신호가 들어왔다.
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업계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5.1%로 집계됐다.
저축은행업계의 연체율도 1분기에 5.1%로 잠정 집계됐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지난달 27일 "2014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연체율 14∼15%와 비교하면 5%대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현경 기자]
저축은행 업계의 고정이하여신비율과 연체율이 모두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자산건전성에 적신호가 들어왔다.
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업계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5.1%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4.04%)에 비해 약 1.1%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NPL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 등인 부실채권으로, 부실채권이 총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5%를 넘긴 것은 연말 기준으로 2018년(5.05%)이 마지막이다.
NPL 비율은 2019년 4.7%, 2020년 4.24%, 2021년 3.35% 등으로 하락세를 보이다 지난해 4.04%로 반등했으며 올해 1분기에 5%를 돌파했다.
저축은행업계의 연체율도 1분기에 5.1%로 잠정 집계됐다. 5%를 넘긴 것은 2016년 말(5.83%) 이후 처음이다. 연체율은 2017년 4.57%로 떨어진 이후 2021년에는 2.51%까지 내려섰지만, 지난해 3.41%로 반등한 이후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런 건전성 지표 악화에도 저축은행 업계 등은 관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판단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지난달 27일 "2014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연체율 14∼15%와 비교하면 5%대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달 28일 "건전성과 시스템 리스크와 관련해 저축은행 포트폴리오는 여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다만,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연체율 상승이 신규 연체 외에도 NPL 매각 지연 등과 연관된 만큼 NPL 매각 통로를 다양화하는 등의 해법을 논의하고 있다.
이복현 원장은 "연체율 증가에 대해서는 상각 대상 자산의 매각, 상각 절차가 지연되는 부분이 있어 금융기관들이 조금 더 신속하게 부담을 덜어낼 방법이 있는지 금융회사·협회와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1분기 말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자산은 135조1천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2.5%(3조5천억원) 감소했으며 순손실 규모는 600억원으로 추정됐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적자 전환의 배경으로 수신금리 인상에 따른 비용과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을 꼽았다.
1분기 저축은행업권이 지출한 이자 비용은 직전 분기보다 7천200억원 늘었고, 지난해부터 미사용 약정에 대해서도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도록 규정이 강화됨에 따라 1분기에 충당금 700억원을 추가로 적립했다.
그러나 중앙회는 업계 1분기 평균 자기자본비율(BIS)은 13.6%로 지난해 말(13.15%)보다 0.45%포인트 올라 금융당국 권고 비율(11%)을 웃돌았다며 손실흡수 능력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1분기 유동성비율(241.4%) 역시 법정 기준(100%)을 큰 폭으로 상회했으며 하반기부터 영업실적이 호전될 것이라고 중앙회는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