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기술 개발 나선 LGU+…"도시기능 서비스 선진화 주력"

남궁경 2023. 4. 30. 09: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개 부처 주관 실증사업 과제 첫 수주…5G·V2X 기반 기술 개발
양자내성암호로 보안성↑···"4만km 서비스 실증 목표"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 랩(Lab)장이 지난 28일 온라인으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연구개발 과제 수주 소식을 알리고 있다.ⓒ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자율주행'에 필요한 5G·V2X(차량·사물 통신) 기반 기술과 도시환경관리 서비스에 최적화된 3D 관제시스템 개발에 착수한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 랩(Lab)장은 지난 28일 온라인으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국토교통부 주관 자율주행 도시환경 서비스 연구개발 과제를 수주했다"면서 "해당 서비스는 도시환경 관리로 미세먼지, 코로나19 등으로 취약해진 시민들의 삶의 질을 자율 주행을 통해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가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은 오는 2027년 융합형 '레벨 4+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반 완성을 목표로 하는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경찰청 등 4개 부처 주관 사업이다. LG유플러스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모빌리티 서비스, 실시간 수요대응 대중교통 모빌리티 서비스 등 5개 과제에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24시간 주행 가능한 자율주행 차량을 통해 도로 노면청소, 미세먼지·공기 정화, 전염병 방역·소독 등을 수행하는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 과제를 추가 수주하고, 2027년까지 약 5년간 주관연구기관으로서 관련 기술 연구와 개발에 본격 착수할 방침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LG유플러스는 안전사고를 줄여 궁극적으로 시민들의 만족도를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환경미화원은 주변 시야가 확보되기 어려운 야간 또는 새벽시간에 작업이 진행돼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간 사망 27건, 사고·상해 746건 등 차량 추돌에 의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디젤차 운행으로 인한 2차 대기오염 방지도 기대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류형상 미래모빌리티기술팀장은 "아직 대부분 차량이 디젤로 사용되고 있어 2차 대기 오염이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국내 상용 전기차량을 활용해 친환경 자율주행차량을 개발하고 서비스 모듈도 모두 전동화해 2차 오염을 제로화할 예정"이라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연구개발을 통해 확보된 자율주행 서비스 기술과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사업의 기반을 확보해 자율주행 시장을 선점해 나갈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실증을 위해 GS건설(노면상태 평가 기술 및 테스트베드 제공), 리텍(도시환경관리 특장차 개발), 라이드플럭스(도로노면청소 차량 플랫폼 기술), 에이스랩(미세먼지·방역 서비스 차량 플랫폼 기술), 스페이스인사이트(돌발상황 검지 기술), 쿠오핀(차량 원격제어 기술), 아주대학교(서비스 평가 기술), 카이스트(배차·경로 최적화 기술) 등 8개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실증사업 과제 수행을 위해 ▲5G, V2X(차량-사물 통신) 기반의 차량 데이터· 수집·처리·전송 기술 ▲도시환경관리 서비스에 최적화된 정밀지도 기반 3D 관제시스템 ▲사용자 모바일 앱을 연구·개발하여, 리빙랩 기반으로 4만km이상의 서비스 실증에 나설 예정이다.


류형상 팀장은 "2년이라는 실증기간과 저속 차량이라는 기준이 적용돼 실증 범위를 4만km로 설정했다"면서 "하루 6시간을 2년간 꾸준히 할 경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2024년까지 서비스 기술 설계개발을 마무리하고, 2027년까지 리빙랩 도시 기반으로 서비스 운영을 실증하며 성능을 검증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실증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고객 대상 만족도 조사를 통해 기능을 보강하고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기본적으로 자율주행 차량 관제 시스템은 WAVE, C-V2X를 지원하는 노변 기지국(RSU)과 V2N 통신을 지원하는 5G 기지국과의 연동을 통해 운영된다. 이는 자율주행 차량에 부착된 5G, WAVE와 C-V2X를 통합한 차량용 단말기(OBU)와 연동돼 관제 시스템과 실시간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관제 시스템은 5G 통신과 노변 기지국을 통해 도로상황과 카메라, 라이다(Lidar), 레이더(Radar) 등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고 차량의 이상상태와 돌발상황을 감지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차량용 단말기와 노변 기지국간, 차량용 단말기와 5G 기지국간 실시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5G, V2X 수집·처리·전송 기술이 중요한 이유다.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LG유플러스는 ▲차량과 도로상황 영상과 3D 정밀지도 기반 모니터링 ▲차량 이상상태와 주변 도로 돌발상황 감지 및 판단 ▲돌발상황 발생 시 5G 기반 저지연 영상전송 기술을 활용해 즉시 대응 가능한 원격제어 ▲도로상황에 따른 배차·경로·배회 최적화 ▲주행이력 분석 등이 가능한 실시간 통합 서비스 관제 솔루션을 개발해 자율주행 기반 서비스 관리의 용이성을 높일 예정이다.


LG유플러스 5G 통신에는 슈퍼 컴퓨터보다 월등한 연산력을 보유한 양자컴퓨터로도 해독하기 어려운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을 적용해 차량 보안도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0월 차량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 환경에서 차세대 암호체계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LG전자, ICTK과 협업 중이다.


LG유플러스는 2024년까지 서비스 기술 설계개발을 마무리하고, 2027년까지 리빙랩 도시 기반으로 서비스 운영을 실증하며 성능을 검증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실증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고객 대상 만족도 조사를 통해 기능을 보강하고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