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인천공항서 롯데면세점 못 본다”...면세 시장 판도 뒤바뀌나
업계에서는 향후 시장 판도가 바뀔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인천공항이 갖는 상징성과 사업 기간 등을 고려했을 때 이번 입찰로 매출 순위가 뒤바뀔 수도 있다는 것이다.
2001년 1기 사업자로 인천공항에 합류했던 롯데면세점은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으로 매출에 큰 타격을 입었을 때도 매장을 완전히 철수하지 않았지만 22년 만에 방을 빼게 됐다.
롯데는 입찰 과정에서 다른 사업자보다 20%가량이나 적은 금액을 써낸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의 보수적인 베팅에는 2018년 높은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일부 매장을 철수했던 경험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공항 면세점의 성장세와 면세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감당할 수 있는 적정선의 금액을 제시했다는 것이 롯데 측 입장이다.
2019년 출국객 기준 호텔신라와 신세계DF가 인천공항에 내야 하는 임대료는 연간 4000억원가량으로 적지 않은 수준이다. 다만 업계는 이번 임대료가 고정이 아닌 ‘여객 수 연동’으로 바뀌어 예전보다는 부담이 덜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더욱이 상징성을 고려할 때 인천공항은 적자를 내더라도 반드시 수성해야 하는 매장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인천공항은 아시아 허브 공항으로, 코로나 전 연매출이 2조원을 넘겨 세계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때문에 롯데가 빠진 10년 사이 업계 순위가 바뀔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2021년 기준 롯데(40억4600만유로)와 신라(39억6600만유로)의 매출은 1억유로도 채 나지 않았다.
다만 롯데는 면세 소비 트렌드가 이미 시내점과 온라인 위주로 변하고 있고, 해외 시장에서도 발판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이번 결과가 실적을 위협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출국장 면세점의 매출 비중이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한국면세협회에 따르면 출국장 면세점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30.2%에 달했지만, 2019년 13%까지 떨어졌다. 내국인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온라인 면세점을, 외국인은 관광도 함께할 수 있는 시내면세점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롯데면세점의 온라인 매출 비중도 2013년에는 10% 미만이었지만, 2018년 이후 30∼40%까지 증가했다. 롯데는 이번에 아낀 임대료로 시내점과 온라인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벌이고 해외 시장에도 적극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6월에는 호주 멜버른 공항점 개점이 예정돼 있고, 하반기에는 베트남 하노이 시내점을 연다. 코로나 기간 부분 개장으로 운영해온 싱가포르 창이공항 그랜드 오픈도 준비 중이다.
[윤혜진 인턴기자]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