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2050년 40만명 거주지 밀물 때 잠긴다” [이슈&탐사]

김지훈,이택현,정진영,이경원 2023. 4. 27. 04: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멸종위기종 인간] <3> 자연이 보낸 위기신호


현재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이 지속되면 2050년까지 한국인 약 40만명의 거주지가 밀물 때 바다에 잠기게 된다고 세계 기후과학자 단체 ‘클라이밋센트럴’이 예측했다. 해수면 상승으로 거주지의 지면이 만조선(만조 때 바다와 땅의 경계) 아래에 있게 되는 한국 인구를 산출한 결과다. 태풍 등 자연 재해까지 가정했을 때 범람(flooding) 피해를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 인구는 2050년 130만명으로 집계됐다. 2100년을 기준으로 예측한 침수·범람 피해 예상 인구는 더욱 늘었다.

국민일보는 클라이밋센트럴에 한반도 지역 해수면 상승 피해 시뮬레이션을 의뢰해 이 같은 결과를 입수했다. 밀물 때 거주지가 직접적으로 잠길 것으로 예상된 인구는 2050년 40만명, 2100년 64만명이다. 중대재해가 동반됐을 때 최소 1년에 한 번 범람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된 인구는 2050년 130만명, 2100년 160만명이다. 기후위기로 바닷물이 삶의 터전으로 밀려드는 일이 한국에서도 현실화한다는 분석이다.


예측분석을 수행한 벤저민 스트라우스 클라이밋센트럴 수석과학자는 “해수면 상승치를 보수적으로 계산한 결과”라고 국민일보에 밝혔다. 클라이밋센트럴은 온실가스 배출량과 배출 속도를 현재의 수준으로, 대형 태풍 등 중대재해는 ‘10년에 한 번’으로 각각 가정해 해수면 상승치를 구했다. 이 해수면 상승치를 한반도의 상황에 적용해 물에 잠기는 지역들을 찾아냈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축되지 않거나 대형 태풍 등 재해가 10년에 한 번보다 많아지면, 피해를 볼 인구는 시뮬레이션 결과보다 커진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해안 남해안의 도시 대부분이 침수 피해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50년 기준 인천 김포 부산 군산 목포 등 해안 인접 도시는 물론 내륙 지방인 평택 익산 등도 범람 피해 영향권에 든다. 인천에서는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 일부가 물에 잠기고 서울에서도 한강변을 따라 침수 피해가 발생한다. 특히 양천구 목동, 강서구 마곡동, 구로구 신도림동 일대와 올림픽대로 대부분 구간이 물에 잠길 것으로 예상됐다.

내륙 지방의 피해가 예측되는 이유는 범람이 단순히 바닷물에 의한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해수면 상승 상태에서는 태풍 시 하천의 범람 폭도 더욱 커진다는 게 과학자들의 말이다. 2100년을 기준으로 따지면 범람 피해 지역의 범위는 더욱 확대된다. 클라이밋센트럴은 기후위기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세계 기후과학자들이 2008년 설립한 빅데이터 기반 비영리단체다. 유엔 등 국제기구도 이 단체의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

클라이밋센트럴뿐 아니라 국내외 다른 연구기관들도 한반도가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범람 피해에서 예외가 아니라고 분석하고 있다. 유럽·지중해기후변화센터(CMCC)는 G20 기후위기지도 보고서에서 한반도의 상황과 관련해 “현재 수준의 탄소 배출이 지속된다면 2050년까지 인천 부산 등 항구도시를 중심으로 42만명의 ‘취약인구’가 발생하게 된다”고 했다. 이 센터가 말하는 취약인구란 1년에 한 번 범람 피해를 보게 되는 인구다.

한국해양환경공단은 현재 수준의 탄소 배출이 2100년까지 지속될 경우 해수면이 현재보다 1.1m 높아질 것으로 본다. 이때 침수될 국토의 면적은 501.51㎢로 서울 여의도 면적의 173배에 달한다. 국립해양조사원은 2100년 해수면이 2015년보다 81.8㎝ 상승할 것이라고 했다. 해안 및 도서지역 피해가 클 것으로 예측되는 건 공통적이다.

해수면이 조금씩 상승한다는 말은 매우 큰 문제가 아닌 것처럼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해수면 상승이 단순히 그만큼의 지면이 가라앉는 데에만 그치는 의미가 아니라고 했다. 태풍이나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가 동반됐을 때 나타나는 피해의 폭은 해수면 상승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해수면이 1m 높아질 때 같은 높이의 방벽을 쌓는다고 해서 해수면 상승 이전과 같은 상황이 되는 것은 아니다. 해수면 상승 이후에는 내륙 지방의 범람 피해도 커진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6차 보고서 집필에 참여한 이준이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교수는 “해수면 상승 이후에는 태풍에 따른 피해가 훨씬 크게 나타난다. 단순히 해수면 상승만 떠올릴 게 아니라, 여러 자연재해적 변수들이 더해지는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IPCC 보고서는 극단적인 해양 관련 자연재해의 발생 빈도가 앞으로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경고를 전한다. 보고서에는 “지금은 100년에 한 번꼴로 찾아오는 재해가 2100년에는 최소 1년에 한 번 발생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해수면 상승은 미래세대에게 값비싼 청구서이기도 하다. CMCC는 현재의 탄소 배출 기조가 유지될 경우 한국이 치러야 할 해수면 상승 관련 비용을 2100년 기준 2749억 유로(약 404조원)로 예상한다. IPCC 보고서는 기후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현재 투입 중인 재원을 3~6배 늘려야 한다고 말한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지금 기후위기에 대응해 투자하는 것이 앞으로의 비용을 오히려 절약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슈&탐사팀 김지훈 이택현 정진영 이경원 기자 germany@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