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이 만든 ‘임금의 길’…150년 만에 되살린다

홍지유 2023. 4. 26. 0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화문 월대 복원 현장(노란색 점선). 월대 동쪽 계단과 지대석, 어도 계단 터 등이 발견됐다. 1866년 광화문에 설치된 월대는 일제강점기에 전차가 들어서며 땅에 묻혔다. [사진 문화재청]

고종이 1866년 광화문 앞에 설치한 ‘광화문 월대’의 크기와 모습이 확인됐다.

돌로 만든 궁궐 진입로인 월대(月臺)는 일제 강점기 전차가 들어서고 도로가 조성된 뒤 땅 속에 묻혀 있었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9월부터 8개월간 광화문 인근을 발굴해 월대의 모양과 크기를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에 발굴된 유적은 월대 동쪽의 계단과 지대석(址臺石·지면에 놓는 받침돌), 어도(御道·임금이 다니는 길) 계단 터 등이다.

옛 문헌 기록과 사진 자료 등에 따르면, 광화문 월대는 1866년 만들어졌다. 신희권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교수는 “궁궐의 격을 높이기 위해 광화문 앞에 월대를 세워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 진입로를 조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사실은 흥선대원군이 이끈 경복궁 중건 공사 과정을 기록한 ‘경복궁 영건일기’와 1890년대 이후 사진 자료 등에서 확인된다.

1920년대 광화문 월대와 난간석 모습.

문화재청 조사 결과 일제가 훼손하기 전 월대의 전체 규모는 남북 길이 48.7m, 동서 너비 29.7m로 확인됐다. 과거 광화문과 월대를 촬영한 사진 자료는 있었지만 정확한 모습과 규모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05년 발간된 ‘경복궁 광화문 원위치 복원 및 주변 정비 기본계획’ 보고서에서는 월대의 길이와 폭을 각각 52m, 29.5m로 추정했었다.

월대 중앙에는 광화문 중앙문과 이어지는 너비 약 7m의 어도도 있었다. 조성 당시 광화문 월대는 동·서 양쪽에 잘 다듬은 돌(길이 120~270㎝, 너비 30~50㎝, 두께 20~40㎝)을 이용해 2단의 기단을 쌓고, 그 안에는 흙을 쌓아 주변 땅보다 높게 대(臺)를 만들었다. 경복궁 근정전, 창덕궁 돈화문에도 월대가 있지만 난간석(울타리처럼 둘러진 석조 구조물)을 두른 모양은 광화문 월대가 유일하다.

문화재청은 월대가 네 번의 큰 변화를 거치며 땅에 묻힌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월대가 만들어질 당시(1단계)에는 계단이 3등분 된 모습이었지만, 이후 2단계에서는 그중 가운데 계단을 없애고 대신 경사로를 만들었다. 3단계에서는 전차 선로가 들어서며 계단이 축소됐고 4단계에서는 월대의 난간석이 아예 철거되며 월대 위로 도로가 조성돼 땅에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광화문 월대 복원 예시도. [사진 국립문화재연구원]

당시 건축기법도 발굴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여러 장의 지대석을 놓고 적색 점토로 보강한 기초시설, 철편과 점토·석회를 이용한 수평 맞춤 기술, 장대석(계단 등을 쌓기 위해 길게 다듬은 돌)이 밀리지 않도록 점토와 돌을 섞어 구조를 보강한 방식 등이다.

김연수 국립문화재연구원장은 “원래 광화문 월대의 모습과 축조방식은 물론, 축조 이후 단계별 변화과정 등 광화문 월대의 복원을 위한 단서를 확보한 것이 이번 발굴조사의 가장 큰 성과”라고 밝혔다.

광화문 월대를 복원하는 과정에서는 보존된 난간석을 가져다 쓴다. 일제 강점기 월대를 철거하며 쓰임이 사라진 난간석 등 여러 석재는 경기도 구리 동구릉으로 옮겨졌다. 전문가들은 광화문 월대가 1920년대 전차 선로 개설과 도로 정비 등을 이유로 해체되면서 분리된 석재들이 광화문 인근 어딘가에 보관되었다가 1940년대에서 1970년대 사이 동구릉으로 옮겨졌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누가 어떤 이유로 철거된 월대의 일부를 동구릉으로 옮겼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문화재청은 이번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10월까지 광화문 월대를 복원하고, 10월 중 복원 기념행사도 개최할 계획이다.

홍지유 기자 hong.jiy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