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팬데믹 중 韓·美 노동공급 회복 차이, 구조적 요인 비롯"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팬데믹 이후 한국과 미국의 노동 공급 회복 차이는 구조적 요인에서 발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한국은행이 개최한 '노동시장 세미나 프로그램'에서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은 "한국은 미국보다 고령화 속도가 더 빨랐음에도 고령층과 여성을 중심으로 경제활동참가율(경활률) 상승 추세가 지속돼 노동 공급 부족에 직면하지 않았다"며 "미국은 팬데믹 이전부터 지속된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노동 공급이 감소하면서 임금 상승 압력이 높아졌다"며 이같이 진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팬데믹 이후 한국과 미국의 노동 공급 회복 차이는 구조적 요인에서 발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한국은행이 개최한 '노동시장 세미나 프로그램'에서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은 "한국은 미국보다 고령화 속도가 더 빨랐음에도 고령층과 여성을 중심으로 경제활동참가율(경활률) 상승 추세가 지속돼 노동 공급 부족에 직면하지 않았다"며 "미국은 팬데믹 이전부터 지속된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노동 공급이 감소하면서 임금 상승 압력이 높아졌다"며 이같이 진단했다.
한국에서는 노동 공급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기업의 구인성공률을 높였다는 분석이다. 이는 임금 상승 압력을 둔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반면, 미국의 경활률 하락은 임금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제조업 중심으로 빈일자리가 증가한 반면,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전반에서 증가했다. 산업별 노동 수요 차이는 산업별 임금 상승률의 차이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한국은 노동 수요가 크게 증가한 제조업의 임금 상승률(0.9%포인트)이 서비스업(0.3%p)보다 높아진 반면, 미국과 EU는 서비스업 임금 상승률이 제조업보다 상승했다.
이처럼 한국은 고용 비중과 임금·물가 간 가격전가율이 높은 서비스업 부문의 임금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노동수요·임금·물가 채널이 미국에 비해 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오 팀장은 "주요국과 비교해보면 한국은 노동 공급을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이 크지 않은 데다, 고용 비중 및 가격전가율이 높은 서비스업에서 노동 수요 증가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며 "이로 인해 노동 수급 상황에 기반한 임금·물가 상승 압력 및 지속성이 미국 등 주요국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우리나라도 고령화가 노동 공급을 제약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노동 공급이 구조적으로 감소(경활률 하락)하면서 임금 동학에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상민 "송영길, '돈봉투 모른다' 할일 아냐…회견 납득 못하겠다"
- 정치인들은 왜 전광훈 같은 '주변인'에 휘둘리나 [기자수첩–정치]
- "나 기장이야…승무원, 술 가져와" 조종석에 여친까지 앉혔다
- 문재인의 멘탈은 ‘갑’…쥐어짜도 없는 ‘5년간 성취’
- 같은 반도체 불황인데 "40% vs -20%"…희비 엇갈리는 TSMC·삼성전자
- 여야의정 협의체 2차 회의 열었지만, 여전히 '평행선'
- 한동훈 "이재명 위증교사 재판, 통상적인 결과 나올 것"
- 거주자외화예금 51억 달러↓…원·달러 환율 상승 탓
- 극장가에 부는 팬덤 열풍, 이번엔 뮤지컬 스타다 [D:영화 뷰]
- ‘외인에 엇갈린 희비’ KB손해보험, 한국전력 상대 2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