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있어도 사람이 없다”…2년 뒤 ‘진짜 반도체 전쟁’ 이유는
삼성전자 미국 오스틴 법인은 지난달부터 현장직과 팹 엔지니어링, 인프라 기술팀, 혁신팀, 제조 엔지니어링 등 429개 분야에 걸쳐 직원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오스틴 공장뿐 아니라 새로 짓는 테일러 공장에 필요한 인력까지 채용 공고에 포함했다. 공장 완공 전에 미리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미국 애리조나에 공장을 짓고 있는 TSMC 역시 61개 분야에서 주요 인력을 채용 중이다. 3개월~1년 대만에서 연수를 받는다는 조건이다. 공장 완공 전 미리 채용해 대만에서 교육 후 현장에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국적에는 제한이 없으며 학력 조건은 고등학교 졸업부터 석·박사까지 다양하다.
글로벌 반도체 지각 변동으로 인재 확보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업계에서 “공장을 짓고 나면 진짜 전쟁이 시작될 것”이라는 말이 돌 만큼 각국은 비자 조건 완화 등 인재 유치에 팔을 걷어붙이는 모습이다.
러몬드 “연 10만 명씩 새 반도체 기술자 필요”
미국 반도체 정책의 핵심 인물인 지나 러몬드 상무부 장관은 최근 워싱턴DC에서 열린 한 반도체 산업 행사에서 “수년 내 반도체 기술자가 매년 10만 명씩 부족할 것”이라며 “우리는 훨씬 진지해야 하며 새로운 파이프라인(프로젝트)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짓 마노차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회장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2030년까지 반도체 산업에서 30만 명분의 노동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했지만 이는 과소평가 된 것”이라며 “미국 반도체 산업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50만~60만 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돈은 있어도 사람이 없으면 일을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대만과 일본에서도 비슷한 우려가 나온다. 대만반도체산업협회는 지난달 산업정책백서를 통해 “이공계 학생 비율이 계속 감소하는 데다 저출산으로 ‘인재 창고’ 규모가 축소되고 있다”며 “해외 인재 영입이 어렵고, 외국인 인재 고용을 유지하기도 어렵다”고 밝혔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TSMC 공장을 건설 중인 구마모토현을 언급하며 “(구마모토현이 있는) 규수에서만 매해 1000명 이상의 일손이 부족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도체 업계는 이런 현상의 배경으로 ‘자국 중심화’를 꼽았다. 각국이 생산 거점을 자국으로 옮기며 반도체 인력에 대한 수요가 치솟고 있지만, 주요 교육기관에서 인재를 배출하는 속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해 미스매치가 일어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대만, 외국인 비자 완화, 日 해외 학위자도 취업
각국은 급한 대로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해 문턱을 낮추고 있다. 대만은 지난 2월부터 TSMC를 비롯해 자국 반도체 기업에 취업하는 외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 요건을 대폭 완화하기로 했다. 석·박사급뿐 아니라 대학 졸업을 앞둔 이들도 대상이다. 왕메이화 대만 경제부장은 “글로벌 톱 500 대학을 졸업한 인재는 근무 경력이 없어도 대만 반도체 기업의 면접을 통과하기만 하면 취업 비자를 내줄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은 지난 2월 글로벌 톱 100 대학을 졸업한 학생이 일본에서 최장 2년 동안 자유롭게 거주하며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구직 활동을 벌일 수 있도록 관련 법을 개정했다. 인텔·글로벌파운드리 등 미국 반도체 기업은 지난해 8월 칩스법 통과 직후 미 의회에 ‘이공계 석·박사 학위 소유자에 한해 국가별 상한 규정 없이 영주권을 발급해줘야 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한국 역시 지난해 말 반도체 등 첨단 분야 전문 인력 유치를 위한 ‘E-7-S’ 비자를 신설하고, 글로벌 톱 500(QS 기준) 대학 출신에게 비자 심사 시 가산점을 주기로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결국 자국 내 인력을 키워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강조한다. 김정호 KA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미국의 아킬레스건은 결국 인력이 될 것”이라며 “그동안 중국·인도 출신의 아시아계 인력을 주로 채용해왔는데 이제 중국계 인력을 쓸 수 없게 돼 인력 양성에 펑크가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도 우수 학생이 의대를 가는 구조에서 인력을 배출하기 어렵다”며 “정부가 지금보다 3~10배 정도 예산을 더 들여 인재를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국내 반도체 인력의 중국 유출은 애국심으로 막는다고 해도 미국으로 유출까지 방지하긴 쉽지 않다”며 “결국 인재 양성이 핵심인데 한국은 학생을 가르칠 교수가 부족한 실정이라 학교와 정부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말했다.
기획취재팀=박해리·고석현·김수민 기자 park.haele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미려 "가슴 축소 권하던 전 매니저, 내 가슴 몰래 찍어놨다" | 중앙일보
- 출소한 승리 근황…소주병 흔들며 "이게 한국 스타일" | 중앙일보
- '돼지 장기' 받는 한국인 나온다…올해 첫 임상, 생존율 얼마 | 중앙일보
- 호주서 동해까지 왔다…청산가리 10배 독성, 무서운 '파란선' | 중앙일보
- 걸그룹 출신 태국 인플루언서, 남친과 숨진채 발견…둘다 총상 | 중앙일보
- [단독] 김정렬 대신 최용덕 띄우기? 공군 또 '창군 영웅' 논쟁 | 중앙일보
- '초진 vs 재진' 따지다 다시 표류 위기…비대면 진료의 운명은 | 중앙일보
- 野 "노란봉투법 오늘 직회부"…'송영길 리스크' 시선 돌리기? | 중앙일보
- 치킨 한마리 값 다 됐네…'1만6500원'짜리 햄버거 뭐길래 | 중앙일보
- "차라리 노사 결정권 없애자"…최저임금위, 이런 얘기까지 왜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