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송합니다'는 여전했지만…청년취업률 꼴찌는 이과였다
━
청년 고용률 최하위는 자연과학
지난해 하반기 자연과학·수학·통계학 전공자의 청년(15~29세)고용률은 68.8%로, 12개 전공계열로 나눠봤을 때 가장 낮았다. 전년 하반기까지 청년취업률 최하위 전공은 사회과학·언론정보학으로, 이른바 문과의 차지였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닥쳤던 고용난이 해소되면서 지난해 인문계열 고용률이 소폭 상승했다. 그렇다고 해도 ‘문송’(문과라서 죄송)하다는 추세가 바뀌진 않았다.
24일 통계청 ‘전공계열별 취업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 하반기와 비교했을 때 지난해 하반기 청년 취업자 수가 줄어든 전공은 ▶교육 ▶인문학 ▶자연과학 ▶농림어업·수의학 ▶복지 ▶서비스 등 6개로 나타났다. 이 기간에 15~29세 전체 취업자 수는 1만명(0.5%) 늘어 224만2000명을 기록했는데 12개 중 6개 전공의 취업자 수는 감소했다.
자연과학 전공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청년 취업자 수는 8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3000명(3.3%) 감소했다. 이과라고 해서 모두 취업시장에서 유리한 건 아니라는 의미다. 하지만 같은 기간 컴퓨터공학과 등이 포함된 정보통신기술 전공의 청년 취업자 수는 1만1000명(17.7%) 늘어 7만명을 기록했다. 고용률로 보면 지난해 하반기 정보통신기술 전공은 1년 전보다 4.5%포인트가 늘어 76.9%, 공학계열은 4.4%포인트 증가한 77.7%에 달했다.
인문·교육 전공 등 문과 취업자↓
고용률 최하위를 이과가 차지했다지만, 문과계열의 취업 부진은 여전했다. 전체 청년 취업자 수가 증가한 것과는 반대로 인문·교육학 등 문과의 대표적인 전공계열에서 청년 취업자 수가 감소한 게 대표적이다. 인문학 전공 청년 취업자 수는 2021년 하반기 14만8000명에서 지난해 하반기엔 14만1000명으로 7000명(5%) 줄었고, 같은 기간 교육 전공에선 6000명(3.9%) 감소했다.
청년 취업자 수가 가장 많이 줄어든 건 복지계열이다. 지난해 하반기 1년 전보다 9000명(8.4%) 줄어 9만5000명을 기록하면서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는 복지 전공 취업자 수가 크게 늘었지만, 지난해엔 달랐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일상 회복으로 전환하자 곧장 취업 문이 좁아졌다는 풀이가 나온다.
문과의 취업 부진은 또 다른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의 ‘2021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결과를 보면 취업률은 인문계열(58.2%), 교육계열(63%), 사회계열(63.9%), 자연계열(65%)순으로 낮았다.
취업자 늘었다지만, 음식·숙박업 위주
지난해 하반기 사회과학·언론정보학의 청년 취업자가 1년 전보다 증가하는 등 문과 내에서도 일부 전공계열은 전반적인 고용 호조 흐름을 따라가는 듯했지만, 고용의 질적 측면에선 그렇지 않았다. 산업별로 봤을 때 지난해 하반기 사회과학 전공자 중 숙박·음식점업 취업자가 1년 전보다 36.7%(7000명) 늘었다. 정보통신업(11%), 금융·보험업(-6.7%) 등 구직자가 주로 선호하는 산업의 취업자 수 증감률보다 두드러지게 높았다.
세종=정진호 기자 jeong.jinh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미려 "가슴 축소 권하던 전 매니저, 내 가슴 몰래 찍어놨다" | 중앙일보
- '백종원 매직' 이번엔 삽교곱창?···"똘똘 뭉칠건가" 의미심장 발언, 무슨일 | 중앙일보
- "'김건희 여사, 장관 부인에 나가달라'는 허위"…우상호 송치 | 중앙일보
- 조현병 딸이 정상이었을지도…날 분노케 한 '부부와 대리인' | 중앙일보
- 전 KBS 통역사 고백 "정명석 추행 보고도 문제로 인식 못 했다" | 중앙일보
- "부모님 모욕에 충동적으로…" 표예림이 밝힌 극단선택 시도 이유 | 중앙일보
- 이철우, 서세원과 인연 공개…"잡혀가도 괜찮다며 유세해준 친구" | 중앙일보
- 제자 때리고 그 어머니 성추행…고교 운동부 코치에 벌금형 | 중앙일보
- "누나가 봄 보여줄게"…유창한 중국어로 평양 소개한 연미 | 중앙일보
- 이강인, 한국인 최초 프리메라리가 멀티골…구단도 놀란 '킹' 활약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