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에게 영감을”…5636m 정상서 32일 버틴 등반가

이강민 2023. 4. 22. 1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멕시코의 한 여성 등반가가 북미에서 가장 높은 화산 정상에서 32일간 머무는 도전에 성공했다.

등반가 페를라 티예리나(31)는 20일(현지시간) 본인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 달 넘게 체류한 '피코 데 오리사바' 산 꼭대기에서 하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등반가들이 티예리나처럼 높은 산 정상에서 오래 머무르는 시도를 한 경우는 드물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멕시코 등반가 페를라 티예리나가 북미에서 가장 높은 산인 '피코 데 오리자바' 정상에서 체류하며 찍은 사진. 로이터 연합뉴스


멕시코의 한 여성 등반가가 북미에서 가장 높은 화산 정상에서 32일간 머무는 도전에 성공했다.

등반가 페를라 티예리나(31)는 20일(현지시간) 본인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 달 넘게 체류한 ‘피코 데 오리사바’ 산 꼭대기에서 하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미에서 가장 높은 화산으로 알려진 이 산은 해발고도가 5636m에 이르러 ‘멕시코의 지붕’이라고 불린다.

티예리나에게 이번 도전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는 개인 소셜미디어를 통해 산 정상에서 32일 살기 프로젝트를 홍보하며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장애물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노력하고 동기부여를 찾는 여성들에게 영감을 주는 것이다. 여성이 자신의 몸을 한계에 몰아넣고 적응할 수 있을 정도의 정신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고 적었다.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는 “이번 등반은 여자들도 ‘특별한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개인적 도전이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피코 데 오리사바 정상에서 지내는 동안 자신의 모습과 주변 풍경을 소셜미디어로 공유해 왔다. 배터리가 떨어질 때면 태양열 충전기나 다른 등반가들이 가져다 준 배터리를 이용해 소셜미디어에 기록을 이어갔다.

멕시코 등반가 페를라 티예리나가 '피코 데 오리자바' 정상에서 체류하는 동안 본인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개한 사진들. 페를라 티예리나 인스타그램 캡처


눈으로 뒤덮인 산정과 맑은 날 떠오르는 태양, 달빛이 비치는 밤과 같이 환상적인 풍경들로 누리꾼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그뿐 아니라 강풍에 텐트가 흔들리는 장면이나 직접 요리를 해먹는 모습 등 산 꼭대기에서의 일상을 보여주는 내용도 포함됐다. 사진뿐 아니라 팔로워들의 질문을 직접 받으며 본인의 등반 과정을 생생하게 알려 큰 호응을 받았다.

멕시코 등반가 페를라 티예리나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팔로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본인의 등반 과정을 생생히 알리고 있다. 페를라 티예리나 인스타그램 캡처


티예리나는 “자연과 신, 그리고 나 자신과 함께하는 나날이었다”며 “이곳은 놀랍도록 멋있는 곳”이라고 말했다.

티예리나의 이번 도전은 스페인 등반가 페르난도 가리도의 기록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스페인 등반가 페르난도 가리도가 1986년 남북미를 통틀어 가장 높은 산인 아르헨티나 아콩카과 정상(해발 6961m)에서 62일을 지냈다.

등반가들이 티예리나처럼 높은 산 정상에서 오래 머무르는 시도를 한 경우는 드물다. 등산계에서는 전통적으로 가장 먼저 혹은 빠르게 정상에 오른 사람이나 새로운 등반 루트를 발견한 사람들이 대우를 받기 때문이라고 AFP 통신은 분석했다.

티예리나는 올해 말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에서 원정 훈련을 가질 계획이다. 티예리나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히말라야 K2봉(해발 8611m)에 추가 산소 공급 없이 오르는 게 가장 큰 꿈”이라고 말했다.

앞서 그는 에콰도르에서 8개월간 머물며 준비한 끝에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높은 히말라야 산맥의 초오유봉(해발 8201m)에 도전했지만 저산소증으로 실패한 바 있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