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무지 정부는 실패" 가톨릭대 교수 절반, 초유의 선언 ['굴욕 외교' 반대 시국선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톨릭대 교수 절반가량이 '윤석열 정부의 대일 굴욕 외교'를 비판하는 시국선언에 이름을 올렸다.
"외교 문제에 대해 정부를 규탄하는 선언에 가톨릭대 교수들이 절반이나 동참한 것은 사상 초유"라고 가톨릭대 교수협의회는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근혁 기자]
▲ 가톨릭대 교수들이 21일 오후 시국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
ⓒ 가톨릭대 교수협의회 |
가톨릭대 교수 절반가량이 '윤석열 정부의 대일 굴욕 외교'를 비판하는 시국선언에 이름을 올렸다. "외교 문제에 대해 정부를 규탄하는 선언에 가톨릭대 교수들이 절반이나 동참한 것은 사상 초유"라고 가톨릭대 교수협의회는 밝혔다.
"예상 뛰어넘은 서명 동참"... 사흘 만에 교수 절반이 동참
21일 오후 2시, 가톨릭대 교수 108명은 "역사에 무지한 상태로 외교에 임한 이 정부는 반성과 사죄를 포함한 일본 정부의 평화적 조치를 요구하는 데 실패했다"면서 '대일 굴욕외교' 외교협상 관계자에 대한 즉각 해임을 요구했다.
가톨릭대 교수들의 시국선언 참여 규모에 대해 이 대학 교수협 관계자는 <오마이뉴스>에 "안식년 중인 분들을 뺀 전체 교수들 가운데 절반 정도가 회람 사흘 만에 서명했다"면서 "우리 대학 교수들이 이처럼 대규모로 참여한 것은 미리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라고 설명했다.
서명 회람은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됐다.
가톨릭대 교수들은 성명서에서 "그 어느 때보다 식민지 피지배의 유산을 극복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돌연 제기된 윤석열 정부의 '강제 동원 배상안'에 대해 우리 가톨릭대 교수들은 개탄을 금치 못 한다"면서 "이를 즉시 철회하고, 이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적절한 대안을 마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교수들은 "윤석열 정부의 제3자 변제를 통한 배상안은 일본 정부와 가해 기업에 식민 지배와 수탈에 대해 더 이상 반성하고 사죄하지 않아도 된다는 면죄부를 준 것"이라면서 "윤석열 정부는 식민시대의 반인륜적 역사를 되풀이할 빌미를 일본에 제공한 셈"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교수들은 "세계평화와 공존에 기여하기 위한 정책과 외교에 반하는 현재의 배상안은 무지하고 맹목적이며 굴욕적이기까지 하다"라고 강조했다.
"역사에 무지한 현재 행태 반복하지 말라"
끝으로 가톨릭대 교수들은 요구사항을 통해 "윤석열 정부는 굴욕적인 강제동원 배상안을 즉각 철회하고 대한민국의 역사에 대한 어떠한 자주적인 의식도 없이 외교협상을 진행하는 관계자를 즉각 해임하라"면서 "윤석열 정부는 역사에 무지한 현재와 같은 행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평화와 정의에 기반을 둔 역사교육정책을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성명서 발표는 가톨릭대 교수 3단체인 교수협의회, 교수노조,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전국교수연구자협의회 지회가 주도했다.
성기선 가톨릭대 교수협의회장은 이날 "진리를 탐구하는 지식인으로서, 그리고 미래세대를 가르치는 교수로서, 정부의 잘못된 대일외교정책에 대해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데 많은 교수들이 공감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이 부끄러워해야 할 일본 여론조사 결과
- 눈물의 한라산, 이 사람이 23년간 찾아낸 것
- '좌파가 KBS라디오 점령했다'는 박대출, 질문 받자 "기자들 예의가 없다"
- 엄마의 일격 "사위 말은 내가 짐승 새끼란 기가?"
- 프랑스 의대생이 도시 관광 대신 찾아간 곳
- 한국외대 시일야방성대곡 "굴욕외교 윤 대통령, 국민에 사죄하라"
- 일 언론 '조롱'에 결국 독도 입도해낸 청년들 "기자, 역사공부하길"
- "노동탄압" 맞서 분신했던 건설노동자, 끝내 사망
- [오마이포토2023] "간호법 반대... 3일 연가투쟁, 17일 총파업"
- 유신 정권 망명중인 김대중, 김지하와 공동투쟁을 논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