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 동안 3천명 이상이 살해당한 도시 [가자, 서쪽으로]
[김찬호 기자]
델리에서 암리차르까지는 기차로 6시간이 걸리는 거리입니다. 하지만 여행은 아주 편안했습니다. 인도에서 가장 빠른 축에 드는 특급열차인 사땁띠 익스프레스에 탑승했기 때문입니다. 가격은 비쌌지만, 식사까지 포함된 특급열차는 나름 즐거운 경험이었습니다.
▲ 암리차르로 향하는 특급열차 |
ⓒ Widerstand |
시크교는 다양한 종교와 교류한 비교적 젊은 종교입니다. 그만큼 과거의 종교와는 여러 측면에서 달랐죠. 다른 종교에 대해 관용적이었고, 사회적인 평등과 합리성을 중시합니다. 형이상학적인 진리보다 적극적이고 성실한 삶이 더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종교적인 헌신이나 고행보다, 정직하고 순수한 일상의 삶이 더 소중하다는 것이죠.
시크교는 여러 의미에서 진보적인 종교였습니다. 여성의 히잡 착용을 폐지했고, 모든 사람을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카스트의 혁파를 주장했고, 모든 사람이 신의 진리에 다다를 수 있다고 믿었죠. 성씨를 통해 카스트를 알 수 있다는 특성상, 시크교 신자는 모두 과거의 성을 버리고 싱(Singh)과 카우르(Kaur)라는 동일한 성씨를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 모든 사람과 같은 식사를 나누는 시크교 사원 |
ⓒ Widerstand |
구루 나낙이 사망한 뒤 제자들에 의해 이어집니다. 암리차르에 처음 자리를 잡은 것은 네 번째 지도자였던 구루 람 다스(Ram Das) 시대였죠. 그 다음 지도자인 구루 아르잔(Arjan)은 이곳에 황금 사원을 짓고 교세를 확장했습니다. 암리차르도 그렇게 함께 성장합니다.
하지만 교세가 확장될수록 위협도 거세졌습니다. 무굴 제국의 황제 자한기르는 관대한 종교 정책을 펼쳤지만, 시크교가 반란 세력에 가담했다고 의심했습니다. 결국 자한기르는 구루 아르잔에게 이슬람으로 개종할 것을 강요합니다. 구루 아르잔은 거부했고, 처형당했죠.
▲ 암리차르 시내 란지트 싱의 동상 |
ⓒ Widerstand |
무력을 키운 시크교는 무굴제국 말기, 혼란한 틈을 타 시크 왕국을 건설하기도 합니다. 특히 시크교 세력을 결집해낸 란지트 싱(Ranjit Singh)은 펀자브 지방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고, 1799년 시크 제국을 건설합니다. 펀자브 지방을 넘어서 현재의 인도 북서부와 파키스탄 지역을 광범위하게 지배했죠. 시크교의 본산인 황금 사원에 지금처럼 황금이 덧씌워진 것도 란지트 싱 시절의 일입니다.
▲ 시크교의 본산인 암리차르 황금 사원 |
ⓒ Widerstand |
1919년에는 암리차르 학살 사건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인도 민족주의 활동가의 체포에 저항한 총파업이 벌어지자, 영국군이 시위 현장을 봉쇄하고 사격을 가한 것이죠. 퇴로조차 막힌 발포에 최소 수백 명이 사망했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피해자는 시크교도였습니다.
▲ 공원이 된 학살 현장에는 여전히 총탄의 흔적이 남아 있다. |
ⓒ Widerstand |
하지만 사람이 사는 땅이 그리 쉽게 둘로 나뉠 리 없겠죠. 힌두교 우세 지역에도 무슬림은 살고 있었고, 반대의 경우도 있었습니다. 특히 시크교도가 주로 거주하던 펀자브 지역은 상황이 더욱 복잡했습니다. 서쪽은 파키스탄으로, 동쪽은 인도로 분할된 것이죠. 원래 하나의 생활권이었던 영토가 두 나라로 분단된 것이죠.
분단의 과정에서는 물론 막대한 혼란이 벌어졌습니다. 소수 종파에 속하는 사람들은 가산을 정리할 틈도 없이 도망치듯 고향을 떠나야 했습니다. 그 사이 힌두와 무슬림 사이 내전에 가까운 폭력과 테러가 벌어졌죠.
▲ 암리차르 분단의 역사를 담은 파티션 뮤지엄 |
ⓒ Widerstand |
결국 1984년, 강한 무력을 가지고 있던 시크교도 집단이 황금 사원을 중심으로 봉기를 일으켰습니다. 이들은 시크교도의 독립국가, 칼리스탄(Khalistan)의 수립을 요구했습니다.
당시 인도 총리였던 인디라 간디는 군사적인 해결책을 선택했죠. 인도군 내에 이미 시크교도가 많았지만, 반대파를 해임하고 황금 사원을 공격했습니다. 무장 집단은 인도군에 의해 축출되었지만, 사원에 대한 군사적 공격은 엄청난 논란을 몰고 왔죠. 수백 명의 시크교도가 이 과정에서 사망했고, 황금 사원의 유물도 다수 실종됐습니다.
▲ 황금 사원 |
ⓒ Widerstand |
암리차르에서 차를 타고 한 시간이면 파키스탄 국경에 닿습니다. 교류가 적은 두 나라의 특성상 인도-파키스탄 국경은 한적합니다. 하지만 저녁 때면 양국이 국경을 닫을 때 하는 국기 하강식을 구경하기 위한 사람들이 북적입니다.
저도 별 생각 없이 국경으로 향해 국기하강식을 관람했습니다. 하지만 몇 번이나 후회했습니다. 국기를 손에 들고, 국기의 색을 한 모자를 쓴 사람들. 관객들에게 호응을 유도하는 군인. 소리를 지르고 춤을 추는 사람들. 저는 그 국가주의의 냄새에 질식할 지경이었습니다. 아예 철책을 걸어 잠그고 오가지도 못하는 한국의 국경보다 나은 것일까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국가주의를 쉽게 견딜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 국기 하강식의 군중들 |
ⓒ Widerstand |
사람들은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춥니다. 군인은 외칩니다. "힌두스탄(힌두의 땅)!." 군중은 회답합니다. "진다밧(만세)!." 하지만 저는 그 구호가, 전혀 신나지 않았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본 기사는 개인 블로그, <기록되지 못한 이들을 위한 기억, 채널 비더슈탄트>에 동시 게재됩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 '폭탄 발언', 재앙적 파국 우려한다
- 생각없이 쓴 단어 '노가다'... 통렬히 반성합니다
- 유학 가서 영양제 박사 된 친구, 왜 그런가 했더니
- 특검 '데드라인' 그은 정의당 "국힘 방탄본색, 더 두고 못 봐"
- 1년만의 답변... 대통령인수위 법 어겼지만 인권침해 아니다?
- 보수인사 장악 미디어특위... "국가주도 언론통제 우려"
- 주꾸미 샤부샤부, 60년 전통 원조 레시피 그대로 공개합니다
- 이재명, 윤 대통령에 "말조심을 해야 한다"
- [오마이포토2023] 야4당, 이태원참사 특별법 제출
- '윤석열 두둔' 태영호 "대량학살에도, 한국은 가만있어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