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도 공들이는 인도…中인구 추월하고 ‘3위 경제국’ 노린다

서지원 2023. 4. 20. 07: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일 인도 뭄바이에서 문을 연 애플스토어. AFP=연합뉴스

인도가 자국의 인구 증가와 ‘탈(脫)중국화’의 수혜를 보면서 비약적인 경제 성장이 전망되고 있다. 미국·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경제국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18일(현지시간) 애플은 인도의 최대 도시 뭄바이에 인도 첫 오프라인 매장인 애플스토어 BKC를 열었다. 개장식에 직접 참석한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오랫동안 공들여온 인도에 진출해 기쁘다”고 말했다. 그의 인도 방문은 7년 만이다. 오는 20일에는 수도 뉴델리에 2호점을 연다.

애플은 인도를 소비‧생산을 늘릴 ‘기회의 땅’으로 보고 있다. 아누락 라나 블룸버그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말 60억달러(약 7조9100억원)인 인도 아이폰 판매액이 앞으로 10년간 연평균 17% 증가해 300억달러(약 40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봤다. 애플은 지난해 9월 출시한 스마트폰 새 모델 아이폰14를 중국뿐 아니라 인도에서도 생산하기 시작했다.

‘넥스트 차이나’로 부상한 인도는 기업들의 판매·생산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미국 항공기 제조사 보잉은 인도의 국영항공사 에어인디아에 총 220대의 항공기 공급 계약을 맺었다. 옵션을 포함한 구매 총액은 459억달러(약 60조5400억원)에 달한다. 자동차업체 일본 닛산과 프랑스 르노는 인도 공장 등에 790억 엔(약 7600억원)을 투자해 전기자동차 공동개발 등을 가속한다고 지난 2월 발표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인도에 주목하는 이유는 인도의 경제 성장 속도가 빨라서다. 스테이트뱅크오브인디아는 2029년 인도의 국내총생산(GDP)이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까지 올라설 것으로 예측했다. “세계 경제의 중심이 변화하고 있다”(미국 싱크탱크인 애틀랜틱 카운슬의 이르판 누르딘 남아시아센터장)는 평가까지 나온다.

경제 성장의 배경에는 인구 증가가 있다. AFP는 19일 유엔인구기금(UNFPA) 세계인구 보고서를 인용해 올해 중반 인도 인구가 14억2860만명으로, 중국의 14억2570만명보다 약 300만명 많아질 것으로 예측됐다고 보도했다. 마켓워치는 지난 15일 인도 인구가 이미 중국을 추월했다고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273년 만에 인구대국 지위를 내려놓게 됐다”며 “국제질서에 큰 변화를 예고한다”고 짚었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인도의 합계 출산율(여성 1명당 평생 낳을 아이 수)은 2.01명으로 중국(1.18명)보다 두 배 가까이 높다. 고령화가 진행 중인 중국과 달리 인도는 청년층 인구의 비중도 높다. 청년 인구는 실질적인 소비를 주도하는 동시에 생산가능인구의 주축이다. 미 싱크탱크인 브루킹스연구소는 “2030년 인도의 30세 미만 소비자가 세계 시장의 5분의 1을 차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여기에 미국과 중국의 갈등 속에서 인도가 ‘탈(脫)중국화’의 수혜를 본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전 세계 아이폰 생산량에서 인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1%에서 지난해 7%로 상승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애플이 2025년까지 인도 내 아이폰 생산 비중을 25% 수준으로 올릴 수 있다고 전망한다.

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탈세계화 시대에 미국이 새로운 공급망을 만드는 과정에서 인도를 택했다”며 “인도 정부도 기업들에 정책적 혜택을 주기 때문에 공급망 이전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와 생산연계 인센티브(PLI) 등 정책으로 기업들의 투자를 유치해왔다.

다만 넘어야 할 산도 있다. 인도의 지난달 실업률은 7.8%로 3개월 만에 최고치였다. 블룸버그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약속과 달리 인도가 충분한 일자리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직 제조업 인프라가 부족해 젊은층 상당수가 비정규직이나 일용직에 종사하는 현실 등이 구조적 한계로 꼽힌다.

김미수 한국외대 인도연구소 HK교수는 “인도가 지금의 경제 성장세를 유지하려면 생산 인프라 투자가 관건”이라며 “소비가 경제를 뒷받침하는 것 역시 중요한데, 인도의 소득 수준은 아직 중국만큼 늘어나지 못한 상황”이라고 짚었다. 인도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통계가 있는 2021년 기준 2170달러(약 287만원)로 중국의 약 5분의 1 수준이다.

서지원 기자 seo.jiwon2@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