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뱅크 떴다…'4.15% 예금상품' 들고 은행 도전장
금융으로 영토 확장
'뱅크데믹' 금융권 지각변동 촉각
애플이 연 4.15%의 고금리 이자를 제공하는 저축성 예금 상품을 내놨다. 광범위한 사용자 기반과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바탕으로 애플페이, 애플카드 등에 예금까지 출시함으로써 금융권 전반으로 생태계를 점차 확장하고 있다. 최근 뱅크데믹(은행+팬데믹) 위기를 발판으로, 애플이 금융권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애플뱅크 노리는 IT 공룡…연 4.15% 예금 출시
애플은 17일(현지시간) 골드만삭스와 손잡고 연 4.15%의 수익을 제공하는 애플카드 저축계좌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저축 계좌를 내놓겠다고 밝힌 지 6개월 만이다.
미국 내 애플카드 사용자들은 아이폰 '월렛'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 계좌를 만들 수 있다. 수수료나 최소 예치금 등의 조건은 붙지 않으며 예금 보장 한도인 25만 달러까지 예치할 수 있다. 계좌 개설 후에는 애플카드를 쓸 때마다 결제액의 최대 3%를 캐시백 형태(데일리 캐시)로 돌려받을 수 있다.
애플이 약속한 연 4.15%의 금리는 미국에서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미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따르면 요구불예금 등을 포함한 평균 예금 금리는 0.37%다. 애플의 저축성 예금 금리는 이보다 10배 이상 높다. 여타 은행의 저축성 예금 금리와 비교해도 애플이 이자를 더 쳐주는 편이다. 미 최대 인터넷전문은행인 얼라이 뱅크의 예금 금리(3.75%)와 골드만삭스의 마르쿠스 계좌 예금 금리(3.9%)를 넘어선다.
제니퍼 베일리 애플페이·월렛 부사장은 "카드 이용 후 받는 데일리 캐시를 한 곳에서 관리하고 저축할 수 있다"며 "저축성 계좌를 통해 애플카드의 최대 혜택인 캐시백 서비스를 더욱 가치있게 만들고, 사용자들이 매일 손쉽게 저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권으로 영토 확장하는 애플…서비스 수익 ↑
이번 계좌 출시는 애플의 금융 생태계 확대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애플은 지난 2012년 디지털 지갑인 월렛 출시를 시작으로 금융 서비스를 계속 확대하고 있다. 애플페이 외에도 애플캐시(개인 간 송금 서비스), 애플카드(신용카드) 등을 제공 중이다. 아이폰과 아이패드, 맥북 등 하드웨어를 보급한 뒤 '앱스토어'란 소프트웨어로 강력한 모바일 생태계를 장악한 뒤, 금융서비스로 발을 넓히고 있는 것이다.
지난달에는 단기대출 성격을 갖는 '애플페이 레이터'를 미국에 선보이기도 했다. 1인당 최대 1000 달러까지 먼저 결제한 뒤, 구매대금을 최장 6주에 걸쳐 4번에 나눠 갚을 수 있도록 한 할부금융 서비스다. 사용자의 신용도를 자체 평가하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데, 시범 운영을 거쳐 수개월 내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어 이번 저축성 계좌까지 출시하면서 수신(예금)과 여신(대출)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애플뱅크'가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애플의 금융 서비스 확대는 사용자들을 계속 애플 생태계에 묶어두는 '락인(자물쇠)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락인 효과 강화로 애플 소프트웨어 부문의 성장을 견인할 가능성이 크다. 애플 전체 매출에서 금융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10% 미만에서 현재 20% 이상으로 확대됐다. 금융 부문 성장에 힘이어 애플의 서비스 매출은 2021년 10월~2022년 9월 78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애플은 아이폰을 디지털 지갑으로 만들었다"며 "이 같은 노력은 소비자들을 기기 뒤에 있는 소프트웨어 생태계에 계속 연결하도록 도와준다"고 분석했다.
'뱅크데믹' 금융권에 지각변동 일으키나
애플의 고금리 저축성 계좌가 뱅크데믹의 혼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상황에서 출시됐다는 점도 금융권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로 은행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서 투자자들은 은행을 빠르게 이탈해 안정적인 머니마켓펀드(MMF) 등으로 향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애플이 높은 이자를 제공해 저변 확대에 나섰다는 점도 금융시장의 지각변동을 일으키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이밍 마 미국 컬럼비아대 재정학 교수는 "애플이 주체란 것이 가장 특별한 점"이라며 "누구나 애플을 알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미 애플카드를 쓰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애플의 브랜드 인지도와 결합된 매력적인 금리는 은행 산업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는 고객들에게 특히 매력적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애플이 새롭게 선보인 저축성 예금 서비스의 국내 출시 여부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 지난 2014년 선보인 애플페이도 9년 만인 지난달 한국에 상륙한 만큼 향후 국내에 출시되더라도 오랜 기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 달에 150만원 줄게"…딸뻘 편의점 알바에 치근덕댄 중년남 - 아시아경제
- 버거킹이 광고했던 34일…와퍼는 실제 어떻게 변했나 - 아시아경제
- "돈 많아도 한남동 안살아"…연예인만 100명 산다는 김구라 신혼집 어디? - 아시아경제
- "일부러 저러는 건가"…짧은 치마 입고 택시 타더니 벌러덩 - 아시아경제
- 장난감 사진에 알몸 비쳐…최현욱, SNS 올렸다가 '화들짝' - 아시아경제
- "10년간 손 안 씻어", "세균 존재 안해"…美 국방 내정자 과거 발언 - 아시아경제
- "무료나눔 옷장 가져간다던 커플, 다 부수고 주차장에 버리고 가" - 아시아경제
- "핸들 작고 승차감 별로"…지드래곤 탄 트럭에 안정환 부인 솔직리뷰 - 아시아경제
- 진정시키려고 뺨을 때려?…8살 태권소녀 때린 아버지 '뭇매' - 아시아경제
- '초가공식품' 패푸·탄산음료…애한테 이만큼 위험하다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