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다한 복부 지방, 대사증후군 위험 높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복부 혈관 주위 지방의 과다 축적과 지방의 질(quality) 저하가 고혈압, 고혈당, 이상지혈증, 비만 등 대사증후군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복부 혈관 주위 지방은 이소성 지방(ectopic fat) 중 하나로 기존 연구들은 이미 심혈관질환이 있거나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경우가 많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순천향대 서울병원 신장내과(공동교신저자 권순효 교수)와 영상의학과(공동교신저자 이은지 교수) 연구팀은 복부, 간, 근육 등에 침착되는 이소성 지방이 대사증후군 위험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순천향대서울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중 복부 및 골반 CT를 촬영한 505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런 다음 혈관, 신경, 임파관이 있는 콩팥굴(renal sinus) 지방 조직과 복부대동맥 주위 지방 조직의 양을 측정하고, 지방 조직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지방 감쇠 계수(fat attenuation index)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이 없는 그룹 ▲1~2개 있는 그룹 ▲3개 이상 있는 그룹(대사증후군)으로 나눴다. 그러자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이 많을수록 혈관 주위 지방 조직이 양은 증가하고 지방 감쇠 계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관성은 체질량지수를 포함한 여러 가지 교란 변수들을 고려한 후에도 유지됐다. 반면, 지방 감쇠 계수의 감소는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이 1~2개인 그룹에서만 대사증후군과 연관이 있었다. 연구팀은 복부 내에 있는 혈관 주위 지방 조직의 과다는 대사증후군 발병과 관련이 있고, 지방 조직의 질의 변화는 경미한 대사 이상에서도 나타나는 것이라 결론지었다.
논문의 저자인 신장내과 이해경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복부 혈관 주위 지방 조직을 CT 영상으로 평가해서 심혈관질환 위험이 비교적 낮은 환자에서도 잠재적으로 유용한 바이오마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며 “더 나아가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영상자료를 이용해 대사 질환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의 중요한 단서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영양대사학회 공식 저널인 ‘임상영양(Clinical Nutrition)’에 게재된 바 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민 시어머니’ 78세 서권순, 풍성한 모발 비결 공개… “두피에 ‘이것’ 한다”
- 제철 맞은 방어, '기생충' 걱정 안 해도 될까? 꿈틀대는 물질 정체는…
- 4160볼트 ‘고압전류’ 감전, 두개골 드러나… 30대 남성, 어떻게 생존했나?
- “진짜 학생이래도 믿겠네”… 청소년 얼굴까지 소화, 대표 ‘동안’ 스타 5인
- 우도환, 시한부 역할 위해 7kg 감량했다던데… 운동 안 한 게 비결?!
- 감 먹고 바로 ‘이것’ 섭취했다가, 장 막혀 절제까지… 40대 여성에게 무슨 일?
- ‘8번 이혼’ 후 몰라보게 야윈 근황, “딸 살해 협박에 건강 악화”… 누구?
- 잘못 골라 마셨다간 암 위험… 건강한 커피 마시려면 '이것'만 기억하세요
- 키트루다 특허 만료 대비? MSD, 4.6조에 이중항체 독점 라이선스 계약
- 중국에서 벌어진 일… '9쌍둥이 임신', 어떻게 가능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