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첫 통일백서… ‘한반도 비핵화→ 북한 비핵화’ 공식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정부는 출범 후 처음 발간한 통일백서에서 한반도 정세 불안정과 남북 교류협력 단절의 책임이 북한의 핵 위협과 군사 도발에 있음을 공식화했다.
'북한 비핵화'와 '미·북 관계' 등 문재인정부 때는 사용하지 않은 용어도 백서에 담았다.
올해 백서에서 두드러진 점은 지난해까지 사용한 '한반도 비핵화' 대신 '북한 비핵화'란 용어를 공식 사용한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미’→ ‘미·북’으로 용어 변경
윤석열정부는 출범 후 처음 발간한 통일백서에서 한반도 정세 불안정과 남북 교류협력 단절의 책임이 북한의 핵 위협과 군사 도발에 있음을 공식화했다. ‘북한 비핵화’와 ‘미·북 관계’ 등 문재인정부 때는 사용하지 않은 용어도 백서에 담았다.
통일부가 14일 공개한 ‘2023 통일백서’ 1장에는 “북한은 우리와 미국에 대한 강경 입장을 고수했고 만성적인 경제난 속에서도 핵·미사일 위협과 도발을 지속하면서 한반도의 안보 불안을 가중시켰다”고 적시됐다. 권영세 통일부 장관도 발간사를 통해 북핵문제를 “한반도 정세 악화의 근본 원인”으로 규정했다.
문재인정부의 마지막 통일백서인 ‘2022 통일백서’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북한의 ‘도발’이라는 단어도 등장했다. 올해 백서는 ‘일체의 무력도발 불용’ ‘단호한 대처’ 등의 표현으로 북한의 도발에 강경 대응할 것이란 점을 분명히 했다.
올해 백서에서 두드러진 점은 지난해까지 사용한 ‘한반도 비핵화’ 대신 ‘북한 비핵화’란 용어를 공식 사용한 것이다. 한반도 비핵화는 1992년 남북이 합의한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에서 나온 것으로, 문재인정부는 이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해 왔다. 윤석열정부가 올해 백서에 ‘북한 비핵화’를 사용한 것은 핵을 포기해야 하는 주체가 북한임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북·미’ ‘북·미관계’를 ‘미·북’ ‘미·북 관계’란 용어로 바뀐 것도 주목된다.
올해 백서에선 북한 인권 문제도 강조됐다. “북한 비핵화 못지않게 북한 인권 문제를 중요시한다”는 윤석열 정부의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무위키서 “사내 성폭력” 지워버린 한샘…“분노한다”
- ‘엄마 백골 방치’ 딸 선처…“숨진 母 보고 자포자기”
- “가격 잘 쳐주세요”…김 여사, 尹넥타이 경매에 기부 [포착]
- 대낮 캠핑장서 마약 난동…30대男 셋 다 집행유예
- 21세 미군 사병이 美 도·감청 기밀 유출…장갑차 동원 체포
- 정계도 마약…전 녹색당 공동대표, 대마 흡연 혐의 입건
- “화마 속 목줄 끊어준 소방관”…강릉 산불서 동물 살렸다
- 테라 폭락할 때 ‘김앤장’에 수십억 입금됐다
- [단독] 어? 집안이 왜 보여?… 오세훈 숙원 ‘힐스테이트세운’ 입주민 분통
- 문재인 “언론 자유가 민주주의 심각하게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