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미분양 대책 성적표…청약 경쟁률 서울 54대1, 경북은 '0'

김원 2023. 4. 14. 16: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에 마련된 GS건설 영등포자이 디그니티 모델하우스를 찾은 시민들이 모형 주택을 살펴보고 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후 서울 첫 분양 단지인 '영등포자이 디그니티'는 평균 198.76대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뉴스1


정부가 미분양 확산을 막기 위해 내놓은 규제 완화 정책의 효과가 서울 등 일부 지역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대부분 지역에서는 미분양이 확산하고 있다.

14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2일 기준 전국 14개 광역시도에서 1만6603가구가 일반 공급됐고, 1순위 청약에는 9만8860개의 청약통장이 쓰여 평균 5.9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청약 경쟁률의 양극화가 확연히 드러났다. 서울은 722가구 모집에 3만9025개 통장이 쏟아져 경쟁률이 54.1대 1에 달했다. 이는 1·3부동산 대책 발표 직전인 지난해 4분기(10~12월) 청약 경쟁률 5.9대1보다 10배가량 높은 수치다. 경남 역시 998가구 모집에 2만6995명이 지원해 27.1대 1의 높은 청약 경쟁률을 나타냈다.

리얼투데이


하지만 나머지 광역시도의 청약 성적은 저조했다. 광주(6.32대:1), 충북(4.27:1), 부산(3.34:1), 경기(1.98:1), 인천(1.05:1)은 경쟁률이 한 자릿수에 그쳤으며, 충남(0.48:1), 제주(0.12:1), 전남(0.04:1), 울산(0.03:1), 대구(0.02:1)는 1순위조차 채우지 못했다. 특히 경북의 경우 올해 1순위 청약에서 64가구를 모집했는데, 단 한 명의 지원자도 없었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미분양이 크게 늘고, 부동산 시장 경착륙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자 청약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특히 ‘1·3 부동산 대책’을 통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를 제외한 서울 전 지역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했다.

이에 따라 세대원·유주택자도 1순위 청약이 가능하게 됐으며, 추첨제 물량이 늘고 전매제한 기간도 최장 10년에서 1년으로 줄었다. 지방 거주자도 투자 목적으로 서울 아파트 청약에 도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리얼투데이는 “서울이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한 데에는 정비사업을 통해 주거여건이 우수한 도심지에서 브랜드 아파트들이 공급된 덕분”이라며 “부동산 규제 완화로 인해 서울 아파트를 안전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는 투자자들도 분양 시장으로 대거 몰려들었다”고 분석했다.

실제 서울 청약 단지들은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2월 말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미분양 가구는 2099가구로 전체 7만5438가구의 2.8% 수준에 그치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 양평제12구역 도시환경 정비사업인 ‘영등포자이 디그니티’의 경쟁률은 198.76대 1에 달했다. 휘경3재정비촉진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인 ‘휘경자이 디센시아’도 51.71대 1로 역시 높았다. 경남에서는 롯데건설이 1월 창원시 의창구에서 분양한 ‘창원 롯데캐슬 포레스트’는 1순위 청약 접수에서 952가구 모집에 2만6994명이 신청해 평균 청약 경쟁률 28.4대 1을 기록했다.

반면 지방은 미분양이 계속 쌓이고 있다. 최근 청약을 진행한 전북 군산시 ‘한성필하우스’는 청약 인원이 단 1명이었다. 경기 평택시 ‘힐스테이트 평택 화양’은 모든 타입에서 미달이 났다.

부산항 인근의 ‘두산위브 더제니스오션시티’는 청약 미달률이 53.5%로 집계됐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 등 일부 지역은 규제 완화 효과로 시장이 살아나면서 계획대로 분양을 진행될 예정”이라며 “반면 지방은 지난해부터 분양 일정을 최대한 미루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원 기자 kim.w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