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MS 모두 참전…'생성AI 열풍'에 아마존 가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마존이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를 앞세워 생성형 인공지능(AI) 경쟁에 가세했다.
챗GPT 등장을 계기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둘러싼 경쟁이 불붙는 가운데 후발주자인 아마존은 개인이 아닌 기업 고객을 공략하는 서비스 출시로 차별화에 나섰다.
13일(현지시간) 아담 셀렙스키 아마존웹서비스(AWS) 부문 대표는 "오늘 전혀 새로운 생성형 AI가 탄생하게 됐다"며 이를 계기로 많은 기업들이 자체 AI를 개발·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이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를 앞세워 생성형 인공지능(AI) 경쟁에 가세했다. 챗GPT 등장을 계기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둘러싼 경쟁이 불붙는 가운데 후발주자인 아마존은 개인이 아닌 기업 고객을 공략하는 서비스 출시로 차별화에 나섰다.
13일(현지시간) 아담 셀렙스키 아마존웹서비스(AWS) 부문 대표는 "오늘 전혀 새로운 생성형 AI가 탄생하게 됐다"며 이를 계기로 많은 기업들이 자체 AI를 개발·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마존이 이날 공개한 새로운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 '베드록'은 사용자가 복수의 언어모델을 사용해 소프트웨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다. 베드록은 AI 챗봇 열풍을 몰고 온 챗GPT와 같이 텍스트 생성 AI 시스템을 이용한다.
기업들은 AWS에서 이 기업의 대규모 언어 모델인 타이탄 텍스트와 타이탄 임베딩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타이탄 텍스트는 챗GPT와 같이 텍스트를 생성하고, 임베딩스는 검색을 통해 이용자의 맞춤형 설정을 지원하는 언어 모델이다.
또 스타트업 'AI 21'이 개발한 언어 모델과 구글이 지원하는 앤스로픽의 언어 모델, 스태빌리티 AI의 모델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아마존은 설명했다.
앤디 재시 아마존 CEO는 앞서 지난 2월 한 인터뷰에서 "우리와 같은 기술 중심 기업들은 오랫동안 거대 규모의 생성 AI 모델을 연구해 왔다"고 밝힌 바 있다.
아마존의 가세로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간 클라우드 서비스 경쟁이 달아오를 전망이다. 앞서 MS는 오픈AI의 GPT-4를 탑재한 서비스를, 구글은 자체 람다를 이용한 서비스를 예고한 바 있다.
이 시장은 아마존이 약 40%의 점유율로 가장 앞서 있고, MS와 구글이 각각 약 20%와 약 10%로 뒤를 쫓고 있다.
베드록의 가장 큰 특징은 '맞춤화'다. 재시 CEO는 이날 베드록을 출시하면서 "대부분의 기업이 이런 대규모 언어 모델을 사용하고 싶어 하지만 좋은 모델은 훈련에만 수십억달러가 들고 수년이 걸린다"며 "그들이 원하는 것은 맞춤화 기능으로, 그것이 바로 베드록이다"라고 소개했다.
아마존은 다만, 타이탄 모델의 매개 변수나 이를 훈련하기 위해 사용한 데이터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베드록 서비스 비용도 공개하지 않았다.
아마존은 모든 기업이 자체 앱을 구축할 수 있도록 AI 개발에 대한 "접근을 민주화하는 것이 목표"라며 경쟁사보다 더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대기자 명단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우선 서비스할 예정이라며 다국적 컨설팅 기업 액센추어와 세계 최대 회계법인 중 하나인 딜로이트 등이 잠재 고객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7억에 팔렸다…버려진 아파트서 우연히 발견한 '이 작품' 알고 보니 - 아시아경제
- 코로나보다 더 큰 게 왔다…카페·술집들 곡소리나더니 - 아시아경제
- "아버지의 마지막이 병원 침대가 아니어서 다행입니다"[내 집을 시니어하우스로] - 아시아경제
- "9월까지 결혼 안 하면 해고" 공지에 '발칵'…당국에 제동 걸린 中 기업 - 아시아경제
- "北 지방 간부들 목욕탕 성접대…분노한 김정은, 여성 봉사원도 처벌" - 아시아경제
- 입길 오르던 '백종원 빽햄'…더본코리아, 자사몰 판매 중단 - 아시아경제
- 홍준표 "가짜인생이 나라 뒤흔들다니…'명태균 일당' 용서치 않을 것" - 아시아경제
- 오픈AI는 ‘토큰’만 가져가는데…사용자 정보 '통째로' 가져가는 딥시크 - 아시아경제
- 단어 하나 빼먹었다가 2100만원 벌금 폭탄…날벼락 맞은 아디다스 - 아시아경제
- "언론들이 이간질" 트럼프, 또 전쟁 시작…폭스뉴스 편애 - 아시아경제